문제도(백선)
흑1로 이단 젖히고 백2로 젖혔을 때 흑이 A로 막지 않고 3으로 절단한 장면이다. 흑3은 한점을 희생타로 삼아 백을 봉쇄하겠다는 뜻인데 백은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최선일까?
1도(정답)
백1로 절단한 후 3으로 잡는 것이 정답이다. 백1은 흑 모양에 단점을 남기겠다는 뜻으로 귀를 차지하기 전에 교환해야 할 긴요한 수다.
2도(백의 노림수)
백1로 단수치면 흑은 2로 단수친 후 4로 보강할 수 밖에 없다. 이 형태는 백이 A에 두어 백 △ 한점을 움직이는 뒷맛이 남아 있으므로 흑이 세력 작전을 펼치는데 장애물로 작용한다.
3도(수순착오)
그냥 백1로 단수치는 것은 수순착오. 흑은 2를 선수한 후 4로 막는 것이 긴요한 수순이다. 백5로 따낼 때 흑6으로 보강하면 이 형태는 백이 좋지 않다.
4도(백의 노림)
<3도> 이후 백은 1로 껴붙이는 것이 노림으로 남는다. 흑2로 차단하면 백 3, 5로 움직여 하변을 무너뜨릴 수 있다. 그러나 흑6으로 따내는 것이 선수가 된다는 것이 흑으로선 큰 성과다. 이후 백이 A로 보강할 때 선수를 취한 흑은 하변 백 석점에 대한 공격을 엿볼 수 있으므로 충분하다.
5도(흑, 만족)
흑1 때 백이 2로 따낸다면 흑3이 기분좋은 선수활용이다. 백4로 연결할 때 흑5로 한칸 뛰어 백을 압박하면 이 결과는 흑이 우세하다.
6도(흑, 대만족)
<문제도>로 돌아가서 백이 1, 3으로 단수쳐서 흑 한점을 잡는 것은 대악수이다. 흑이 4, 6까지 백 두점을 제압하면 백△과 흑▲의 교환이 백으로선 대악수가 되고 있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격의 가능성이 초점 (0) | 2014.12.25 |
---|---|
정석 이후 침투 (0) | 2014.12.24 |
세력을 견제하는 변신 (0) | 2014.12.22 |
이단젖힘에 대한 대응 (0) | 2014.12.22 |
높이와 넓이의 갈림길 (0) | 201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