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선은 패망선 4선은 승리선
4선에서 집을 에워쌓을 수가 있다면 돌의 효율면에서 보아도 대성공이기 때문에 4선을 기게하는 것은 적당하게 라는 속담이다.
<3선은 너무 가지 말라>는 속담도 잘 쓰여진다.
기본도
우상 : 우상 이러한 곳에서는 흑은 어떤 방법으로 임해야 좋을 것인가?
좌하 : 좌하 한칸 높은 협공 정석을 알고 있는지, 백△으로 응수하면 흑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1도(기본도의 우상)
흑1의 호구 이음은 악수이지만 백2, 4의 다가서는 수를 모르면 타격을 줄 수가 없을지도 모른다. 흑A에는 백B의 응수도 요긴하며, 흑은 궤멸할 것이다.
참고도(흑 궤멸)
흑1의 아래 붙임에는 개의치 않고 2로 막아서 잡으러 간다. 흑3에는 백4로 응수하여 더 이상의 몸부림은 없다.
2도
흑1의 뜀이 맥일지 모르나 이 경우는 자충이기 때문에 노골적으로 백2, 4로 나가 끊는다.
3도(패망선)
살기 위해 흑1로 단수하여 2선을 길 수밖에 없으며 흑11까지 두어 살지 모르지만 이렇게 2선을 기어서는 안된다. 이런 것이라면 차라리 죽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해, <2선은 패망선> 이라는 이유이며 살았기 때문에 지는 것이다.(생불여사:生不如死 몹시 어려운 형편에 놓여 있음을 뜻한다)
4도(대동소이)
흑1의 꽉 이음도 문제이며, 백2의 붙임을 당하면 역시 2선을 기게 된다. 흑A, 백B를 교환하면 <3도>로 되돌아간다.
또한 백2로는 C에 씌운다든지, 또 4라든지, 6으로 크게 공격하는 방법도 있고, 흑 다섯점이 무거운 짐이 됨은 필연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좋은 것인가?
5도(흑1이 호수)
흑 넉점을 가볍게 보고 흑1로 화점 근처에 두는 것이 흑의 올바른 태도이다. 백A, 흑B가 보통이다.
6도(흑1로 기어서 일단락)
귀에서 나타나는 보통형인데 이러한 곳은 흑1로 기어 일단락. 더 이상 2선을 길 필요가 없다. 백A의 막음은 후수.
참고도(백1이 준엄하다)
<6도>의 흑1을 태만히 하면 백1의 막음이 준엄하다. 백A의 내려섬이 듣게 된다. 흑2로 B의 꽉이음은 백C의 젖힘이 듣게 된다.
7도(기본도 좌하)
흑1에 3을 밀고 싶을 지 모르나 4선을 기게 하는 것은 도와주는 꼴이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결국 <4선은 승리선>이라고 불리는 것 같이 4선에서 집을 만들 수 있다면 유리한 것이니까 5선을 밀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된다.
8도(흑1의 협공이 보통)
흑1의 협공이 보통이며 백2에 흑3으로 응수한다. 또한 백2는 흑A를 유혹하고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변화도(붙이고 내려서는 형)
흑1, 3으로 붙이고 내려서서 귀에서 빨리 수습하는 수법도 있다.
9도(실리대 두터움 정석)
백4부터 8까지 실리대 백의 세력이라는 갈림이 되지만, 재차에 걸쳐 백의 꾐에 걸리지 않고 5선을 밀지 않은 흑의 응수에 주목하자. <4선은 승리선>이라는 속담을 뒷바침하고 있다.
10도(백6은 어쩔 수 없다. 생략하면 흑6이 준엄하다)
3. 三의 흑에 백이 날일자로 걸친 경우의 정석의 일종인데 백2, 6으로 5선을 밀고 나서 백8에 벌린다.
이와 같이 자신의 형태를 정비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최소한의 밀기는 어쩔 수 없다.
또한 3선에서 기는 것도 필요 이상으로 기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다.
때와 경우에 따르지만 원칙으로서는 4선에서 에워싼 것은 유리하기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5선은 밀지 않아야 할 것이다.
'기초공부 > 바둑격언·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립삼전(二立三展) (0) | 2015.08.18 |
---|---|
모자에는 날일자 (0) | 2015.08.16 |
격언 모음2 (0) | 2015.08.01 |
첫 패에 패감 없다 (0) | 2015.07.24 |
뒷문 열린 곳 에워쌓지 말라. (0) | 201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