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구 이음
같은 <잇는 법>이지만, <눈>을 만들 때에는 <꽉 이음>보다 <호구 이음>이 편리하다.
기본형(흑선)
흑 대마가 위기에 처했다. 이처럼 좁은 곳이라도 제대로 두면 살 수가 있다. 다른 돌과의 관계에 의해 가끔 죽었던 돌이 되살아나는 일이 있는데, 여기서는 흑▲ 한점에 의해 구출이 가능하다.
1도
흑1의 호구 이음이 급소이다. 백2로 잇게 한 다음 흑3으로 두어 두 <눈>을 확보하게 된다.
2도
만약 흑1로 꽉 이으면 <눈모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흑1로 A의 곳에 내려서는 것도 불합격.
유제1(흑선)
기본형과 비슷한 형이다. 흑이 사는 수는?
정해도
흑1의 호구 이음이 맥이다. 백2로 <파호>쳐 오면 흑3으로 <눈모양>을 얻는다.
실패도
흑1로 궁도를 넓히는 것은 이 경우에는 실패이다. 백2로 치중을 당해 잡힌다.
유제2(흑선)
흔히 나타나는 형이다. 철저히 기억해 두어야 한다.
정해도
흑1의 호구 이음이 올바르다. 백2에는 흑3으로 내려서는 수가 성립하여 백A로 둘 수없는 것이 아픈 점이다. 또 흑1로는 흑A의 호구로 이어도 <정해>이다.
실패도
흑1의 꽉 잇는 수로는 실패이다. 백2에 대해서 흑A의 패로 만들수밖에 없다.
유제3(흑선)
기본형에서도 기본형인 문제
정해도
흑1로 위쪽을 호구잇는 것이 좋은 수이다. 만약 백2로 젖히면 흑3으로 살며, 또 백2로 3의 급소로 오면 흑2로 내려서서 두 <눈>을 만든다.
실패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도 그림의 흑1은 안된다. 백2, 4가 선수로 듣기 때문이다.
유제4(백선)
무조건 살아야 한다.
정해도
백1로 선수한 다음 3으로 호구 잇는 것이 올바른 수순이다. 귀의 경우, 이 1이 듣느냐의 여부에 따라 생사의 관계가 대단히 달라진다.
실패도
백1로 잘 젖혀놓고 3으로 엉뚱하게 젖히면 흑4로 먹여치고 이하 8까지 패가 된다.
'기초공부 > 死活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凹)자> 움츠리는 수 (0) | 2015.08.10 |
---|---|
치중(置中)수 (0) | 2015.08.06 |
마늘모 (0) | 2015.08.04 |
자충수(공배 메움) (0) | 2015.07.31 |
제1장 모양의 기초 (0) | 201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