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충수(공배 메움)
<공배(空排)>가 메워져 있기 때문에 돌이 죽는 일은 흔히 있다. <공배를 메우는 것은 자신의 몸을 묶는 것>이라는 바둑 격언이 바로 이의 사정을 대변해주고 있다.
기본형(흑선)
끝내기도 거의 끝난 최종 단계에서 흔히 생기는 모양이다. 백은 눈이 둘 있으므로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그것은 잘못이고 만약 흑이 둔다면, 귀의 백은 죽지 않는다고 할지라도 귀가 파괴당한다.
1도
흑1이 백의 결함을 찌르는 급소가 된다.
백A라면 흑B. 또는 그 반대로 하여 <빅>이 된다. 이러한 모양에서는.....
2도
최종적으로 백1, 3하여 귀에 수를 남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유제1(흑선)
백의 모양이 정비되지 않은 점을 추궁해 보자.
정해도
흑1의 치중이 올바르다. 백2로 차단할 때 흑3으로 나오면 공배가 메워진 탓에 백은 <자충>이 되어 A의 곳에 단수하지 못한다.
참고도
만약 공배가 비어 있으면(A의 곳), 백4로 산다.
유제2(흑선)
얼핏 보아 백은 살아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수가 남아 있다.
정해도
흑1이 <자충수>를 이용한 급소이다. 백2일 때 흑3으로 내려서면 백은 <자충>이 되어 A의 곳을 두지 못하므로 <눈>을 만들지 못한다.
실패도
잠자코 흑1로 내려서는 것은 백2의 응수를 당해 백을 살려주고 만다.
유제3(흑선)
<자충수>를 이용해서 살 수가 있다.
정해도
흑1이 멋진 수이다. 백이 파호(破戶)하려면 백2 정도인데, 흑3으로 막으면 백은 <자충>이 되므로 A의 곳을 잇지 못한다.
실패도
흑1로 궁도를 넓히는 것은 실패. 백2의 치중수를 당해 흑은 살지 못한다.
유제4(흑선)
백의 모양이 정비되지 아니한 점을 추궁해 보자(무조건 죽음)
정해도
흑1이 급소. 백2로 차단하면 흑3으로 끊고 이하 7까지, 유가무가(有家無家)가 되어 백 전멸. 흑1로 2의 곳에 꼬부려 백1에 흑5해도 죽는다.
실패도
흑1, 3해서는 백4로 패가 되고 만다.
'기초공부 > 死活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凹)자> 움츠리는 수 (0) | 2015.08.10 |
---|---|
치중(置中)수 (0) | 2015.08.06 |
마늘모 (0) | 2015.08.04 |
호구 이음 (0) | 2015.08.02 |
제1장 모양의 기초 (0) | 2015.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