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집의 급소8 문제도(흑선) 백1로 미는 것은 상당히 좋은 수이다. 이렇게 두는 이유는 백으로서 기대하는 흑의 응수가 있지 때문인데..... 흑은 그것을 간파하고 응수를 생각해야 한다. 1도 흑1로 뛰는 응수이다. 다음 백A로 젖혀 오면 흑B로 끊어 잡는다. 2도 백이 기대하는 것은 흑1로 두는 것이다. 이렇..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23
옥집의 급소7 문제도(흑선) 접바둑에서 흔히 생기는 형이다. 흑1은 좋은 공격법이다. 백2, 4로 붙여뻗어서 머리를 내밀었다. 다음의 한 수를 어떻게 둘까? 1도 흑1이 백의 모양을 무너뜨리는 급소이다. 5까지 백은 쫒겨다니기에 바쁘다. 2도 흑1 때 백2로 끊는 것은 무모하다. 흑5까지 백의 다음 응수가 곤..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23
옥집의 급소6 문제도(흑선) 흑1로 옥집의 급소를 찌른데 대해 백2로 붙여서 저항해 왔다. 맥점을 살리는 것도 죽이는 것도 다음 어떻게 두느냐에 달려있다. 1도 흑1로 젖혀 나오면 백2로 끊는 한수 뿐이다. 그러면 흑3으로 조용히 물고 5로 잇는 것이 맥점이다. 계속해서..... 2도 백1로 흑 한점을 몰 때 흑2..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23
옥집의 급소5 문제도(흑선) 백의 모양이 언뜻 보기에는 정연한 것 같지만 큰 결함이 있다. 그것을 안다면 백을 근거부터 뒤흔들어 큰 전과를 올릴 수 있을 것이다. 1도 흑1로 붙이는 것이다. 백이 A, B로 한집을 만드는 것을 상상하면, 이것 역시 옥집의 급소가 되는 것이다.백2로 막으면 흑3으로 젖힌다. 2..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8
옥집의 급소4 문제도(흑선) 소목에의 한칸 높은 걸침, 작은 눈사태 정석의 한 형이다. 흑은 우변의 모양을 굳히고 싶은데 백의 약점을 찔러서 좋은 수순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1도 흑1이 옥집의 급소. 흑3으로 4를 강요하고 흑5로 모양을 갖춘다. 2도 백2로 젖혀오면 흑3으로 되젖히는 것이 맥점이다.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7
옥집의 급소3 문제도(흑선) 흑1의 뻗음에 대해 백2로 모행마한 것은 여기에 걸쳐오는 것이 싫어서 둔 것인데 이것은 방향착오다. 백은 우변의 수비가 급선무다. 백의 실수를 문책하자. 1도 흑1의 모행마가 옥집의 급소다. 백2의 이음에 흑3의 다가섬이 통렬하다. 2도 계속해서 백이 저항을 할수록 백은 망..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7
옥집의 급소2 문제도(흑선) 흑이 정확한 급소를 찌른다면 크게 이익을 얻을 수 있다. 1도 흑1이 옥집의 급소다. 백은 2로 후퇴할 수밖에 없고, 흑3, 백4로 굳히고 우변에 크게 실리를 구축했다. 만일 여기를 백이 먼저 둔다면 A로 2선 날일자로 두는 것이 정형이다. <1도>와 20집 가까이 차이 난다. 2도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6
옥집의 급소1 문제도(흑선) 백1, 3의 젖히고 내려서는 것은 맥을 전혀 모르고 두는 수. 흑4로 막아서 백은 손을 뺄 수가 없다. 손을 빼면 과연..... 1도 흑1의 치중이 옥집의 굽소로 백은 마비되어 버린다. 백A나 B에 두어 한 집을 지었다 해도, 흑1이 그것을 옥집으로 만드는 구실을 하고 있다. 2도 백1로 부..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4
잇는 법11 문제도(백선) 1선에 묘수있는 이음법이다. 당장 흑A의 끊음을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잇는 방법에 따라서 백은 큰 손해를 보게된다. 어떻게 이을 것인가. 1도 그냥 백1로 이으면 흑2의 모붙임으로 백6점이 잡힌다. 2도 백1로 내려서는 것이 유일한 벙법이다. 계속해서..... 3도 1선에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3
잇는 법10 문제도(백선) 흑1로 들여다 봤다. A를 이으면 B로 끊고, B를 이으면 A로 끊는다. 두 군데의 단점을 보완하는 맥점은? 1도(정해) 백1로 붙이는 수가 묘수다. 5까지 필연인데 흑은 A로 나가 끊을 수가 없다. 백은 두가지 단점을 동시에 해결했다. 2도 흑2쪽으로 막아도 마찬가지. 백3으로 이으면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