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는 법9 문제도(흑선) 백1로 나오고 3으로의 꼬부림은 흔한 속수에 해당된다. 그렇다고 흑이 응수하지 않으면 안된다. 활력있는 수를 생각해 보자. 1도 흑1로 뛰는 것이 가장 활력있는 응수다. 이것으로 백으로부터 끊어오는 수도 없으며 도리어 A의 노림도 있어 백은 이를 방비하지 않으면 안된다...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2
잇는 법8 문제도(흑선) 화점에 붙여뻗는 정석이다. 백1로 밀어서 강하게 흑2로 젖힌 것은 정수. 백3의 전개도 당연하지만 이제 다음 한수로 흑은 어떻게 모양을 정비할 것인가. 1도 정석을 조금 공부했다면 즉석에서 흑1로 뛸 것이다.이것은 A, B를 동시에 방비하고 모양도 좋은 호형으로 만들 수 있..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11
잇는 법7 문제도(흑선) 흑1의 걸침에는 보통 백4로 뛰는데 백2로 기는 수도 없지 않다. 흑3, 백4로 되어서 다음의 한 수를 흑은 어떻게 두어야 할까. 1도 흑1로 나란히 서는 것이 이 모양에서의 형이다. 백은 2로 미는 한 수. 흑은 3으로 전개한다. 두터움과 벌림이 조화를 이루어 좋은 모양이다. 2도 평..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9
잇는 법6 문제도(백선) 흑 소목에 백이 2칸 높은 걸침을 하여 흑이 바싹 협공한 형태다. 백1로 붙이고 3으로 뛰자 흑4로 뻗었다. 백1, 3 사이를 뚫고 나오는 것에 대한 백의 대책은? 1도 여기서는 백1과 같이 두는 것이 일종이 형이다. 흑A에 백B로 막았을 경우를 가상한다면 백1은 일자이음이 되는 것을..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9
잇는 법5 문제도(백선) 중국류의 포석에서 나타나는 모양이다. 백의 한칸 높은 걸침에 흑이 1, 3으로 붙여늘었다. 끊기는 점을 백은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1도 흑의 세력이 강한 곳이므로 백1로 가볍게 보폭을 넓힌다. 흑2로 젖히면 백3으로 뻗어서 오히려 모양을 정비하는 의미가 다분히 있다. 2도 ..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9
잇는 법4 문제도(흑선) 백1로 달리고 5의 모행마까지가 정석의 한 형이다. 흑4의 한칸 밑에 단점이 생겨서 이것을 보완해야 한다. 좀 더 활력이 있는 이음법을 구사하고 싶은 장면이다. 1도 흑1로 꽉 잇는 수다. 견실한 면에서는 탓할 수 없지만 두터움을 활용하는 면에서 볼 때는 이 수로는 다소 불..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9
잇는 법3 문제도(백선) 백1, 3의 2단 젖힘은 대단히 기분좋은 수다. 단 흑4로 늘었을 때 백은 물러서야 한다. 어디를 어떻게 이을 것인가. 1도 백1로 꽉 이어주는 것이 정수다. 이것이면 상대의 꼬부림에 3, 5로 젖혀 뻗을 수가 있어서 한껏 확장할 수 있다. 2도 백1의 호구 이음은 흑2로 꼬부릴 때 A로 젖..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7
잇는 법2 문제도(흑선) 백1, 3으로 붙여당겼다. 다음에 2의 오른편으로 젖혀오면 흑은 완전히 근거를 잃게 된다. 한수로 안정할 수 있는 이음법을 연구해 보자. 1도 잇는 법에 따라 바로 안정에 이어지는 예로서 여기서는 흑1의 호구 이음이 최선이다. 다음에 백 A면 흑B로 찔러 붙이면 되고, 백B면 흑A..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7
잇는 법1 문제도(흑선) 흑의 화점에 백이 3.三 침입해서 생긴 모양이다. 백1, 3의 젖혀잇기에 대하여 흑은 손을 뺄 수는 없다.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1도 이런 형에서는 누구나 흑1의 호구 이음을 선택할 것이다. 이렇게 호구 이음한 형은 빈틈이 없다. 2도 흑1로 일자 뛰는 것은 끊음을 방비하고 있으..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7
절충하는 법9 문제도(백선) 백1의 모행마, 흑2의 모행마, 일종의 형이다. 서로가 중앙에 '뜬 돌' 이 되었지만 우변 흑의 허를 찔러서 백은 일찌감치 모양을 갖추는 수순이 있다. 1도 백1로 붙여 흑2로 젖히면 3으로 끊는다. 이것이 흑의 허를 찌른 최선의 수순이다. 흑은 반발의 수단이 없다. 2도 흑1로 몰거.. 맥(手筋)공부/行馬와手읽기 201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