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는 수10 문제도(백선) 중앙의 흑 한 점에 의해서 백이 좌우로 분단되었지만, 언뜻 보면 양쪽 백이 수월하게 넘어갈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수를 찾지 못하면 결코 수월하지 않다. 수순이 아주 중요한 고급 문제에 해당한다. 단수에 유의. 1도(정해) 백1, 흑2 때 백3으로 젖히는 수가 정해이다. 계속.. 기경중묘/넘는 수 2018.03.12
넘는 수9 문제도(백선) 이 문제는 상당히 어렵다. 평범하게 두어서는 넘어가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묘수를 찾아야 한다. 백으로서는 끊는 맥점도 생각해볼 만하다. 제 일착을 어디에 두어야 할까? 신중을 기하여 정확한 맥을 찾아 보자. 1도(정해) 이 백1의 젖힘수가 좌우를 연.. 기경중묘/넘는 수 2018.02.12
넘는 수8 문제도(흑선) 왼쪽의 흑이 여러모로 불비한 상태이다. 우선 모양을 취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는 흑이 상대를 위협하면서 넘어가는 방책을 취하는 것이 보다 현명할 것이다. 수읽기를 해본 다음 신중하게 수순을 진행해 보도록하자. 안쪽 흑 다섯점이 어딘가 불안정한 모습이지만, 백.. 기경중묘/넘는 수 2018.02.01
넘는 수7 문제도(백선) 현재 흑진에 갇힌 상변 백 3점이 괴로워 보인다. 왼쪽의 백이 이를 가만히 지켜볼 수만은 없다. 살려내야만 하는데 어떤 수순을 밟아야 할까? 그다지 어려운 문제는 아니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문제를 풀 때는 신중해야 한다. 1도(정해) 백1이 올바르다. 흑은 A 또는 B인데..... 2.. 기경중묘/넘는 수 2018.01.22
넘는 수6 문제도(백선) 왼쪽 백 석점이 오른쪽으로 넘어갈 수 있을까? 이 문제는 그다지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한 눈에 떠오른 곳이 바로 급소이다. 과연 그 급소는 어디일까? 1도(정해) 흑1이 올바르다. 다만 이 다음 흑이 A 이하로 공격해 왔을 때 이를 수습하는 수단을 읽두어야 한다. 2도(계속) 백.. 기경중묘/넘는 수 2018.01.10
넘는 수5 문제도(흑선) 백 모양에 약점이 있는데 그 점을 추궁해야 한다. 한눈에 백의 세력이 조금 어수선함을 알 수 있다. 윗변을 통해서 넘어가는 것보다 백을 끊어서 육박전을 시도해 보는 것도 그다지 나쁘지 않아 보인다. 1도(정해) 흑1이 올바르다. 즉시 흑1을 두지 않으면 백A의 호구로 버티기.. 기경중묘/넘는 수 2018.01.06
넘는 수4 문제도(백선) 흑의 포위망 속에 든 백 넉점을 탈출시키는 수단은? 이 문제는 그다지 어렵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 수읽기에 자신이 있는 사람이라면 무난히 풀 수 있다. 여기서는 무엇보다도 제 일착이 중요하다. 급소를 찌르지 않으면 안된다. 1도(정해) 백1이 옳다. 아무 것도 아닌 것 같지.. 기경중묘/넘는 수 2017.12.29
넘는 수3 문제도(백선) 포위된 백 다섯 점이 괴롭기 그지없다. 실전적인 모양이다. 어떻게 넘어갈 수 있을까? 1도(정해) 백1로 끊는 것이 정해. 이렇게 끊음으로서 흑을 자충으로 유인하고 그 약점을 이용해서 백이 무사히 넘으려는 것이다. 계속해서..... 2도(계속) 백1에 흑2는 당연. 백3, 흑4를 교환.. 기경중묘/넘는 수 2017.12.25
넘는 수2 문제도(백선) 흑의 포위망 속에 있는 백 넉점을 좌상귀와 연락시키려는 것이다. 절단점을 노려야 한다. 원본에는 <제7의 수가 묘수>라고 되어 있다. 넘어가는 수의 대표적인 모양이다. 흑의 자충을 유도하여 백의 넘어감을 획책해보는 것도 바람직한 하나의 방법이 될 것 같다. 1도(정.. 기경중묘/넘는 수 2017.12.23
넘는 수1 문제도(흑선) 백의 포위망 속에 있는 흑돌을 어떻게 하면 왼쪽 우군에게 연결될 수 있을까? 넘어가는 수의 기량을 테스트하는 문제이다. 나의 급소가 적의 급소이고, 적의 급소가 나의 급소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수를 찾아야 한다. 1도(정해) 흑1로 마늘모에 치받는 수가 올바르다. 이렇.. 기경중묘/넘는 수 2017.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