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기경중묘/넘는 수

넘는 수37

kimdong 2019. 5. 23. 16:33
728x90


문제도(백선)

  수순이 정확해야 넘을 수 있다.















1도(정해)

  백1이 정해. 이 모양은 <좌우동형은 중앙이 급소>에 해당한다. 흑A는 백B, 흑C, 백D로 간단하다. 그러므로 흑은 C로 막는 한수뿐이다.



2도(계속)

  백△에는 흑1이다. 그때 백2면 흑3으로 저항한다. 백4, 흑5는 절대이며 백A로 <패>를 때린다. 또, 백A로 백B하면 흑A, 백C가 되어 선수로 넘는다.



3도(양패)

  흑▲(<2도> 흑3)에 백1로 때렸을 때 흑3으로 막는 것은 무리여서 백5를 당해 <양패>가 되므로 흑 넉점을 구할 수가 없다.



4도(실패)

  먼저 백1, 흑2를 교환하고 백3에 붙이면 흑4, 6으로 때려 <패>가 되므로 이것은 실패다.


'기경중묘 > 넘는 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넘는 수39  (0) 2019.06.18
넘는 수38  (0) 2019.06.04
넘는 수36  (0) 2019.05.04
넘는 수35  (0) 2019.04.22
넘는 수34  (0) 2019.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