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제7형

제7형(백선)
제2기 명인도전시합 제7국 藤澤秀行(후지사와 히데유키) 名人과의 대국, <제1장-제6형>에 계속되는 국면으로 사카다 백번.
흑3까지 하변의 전투가 일단락된 장면이다.
다음은 어디서부터 착수할 곳인가하는 것인데.....

제1도
백1로 여기서부터 착수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믿었다. 흑2는 당연. 이것으로 A에 누르고 백B로 간단히 살게 해서는 재미없다.
백5의 붙임은 <참고도1> 백1로 들이대어 흑2, 백3으로 뛰어두면 보통이었다.

<참고도1>

참고도2
<제1도> 흑6의 젖혀나간 수가 강한 반격. 흑6을 <참고도2> 흑1은 백2로 눌리게 되어 이하 흑5까지 된 다음 백A의 절단이 있어 귀에서 도생하게 된다.

참고도3
흑1로 들이대는 것도 백2, 4로 나오게되어 신통치 않다.

참고도4
<제1도> 흑6으로 1에 끌면 보통이지만 백2의 한 칸 뜀이 好形. 또한.....

참고도5
<참고도4>의 흑1을 그림처럼 젖히면 백8까지 안정하게 되어 흑이 불만일 것이다.

제2도
백1, 3으로 늘어나고 5, 7로 뛴 것은 이 手 뿐이다.
흑8은 백의 안형을 방해할 뿐더러 실리도 크다.
흑8로 <참고도6> 흑1이면 백2, 흑3, 백4로 호구 이음할 작정이었다. 백2가 오게되면 백A로 아래쪽 흑을 공격하는 노림이 생기게 된다.
백9의 누름은 당연. 기세적으로 보아도 백10으로 이을 수 없다.

참고도6

제3도
백1, 흑2를 교환해 두고 백3으로 마늘모로 붙였다.

참고도7
<제3도> 백3을 곧장 백1 이하 5(또는 A)로 건너가면, 흑은 <제3도> A의 곳에 마늘모하여 백을 공격하면서 자기 진형을 정비하게 된다. 그래서 백1, 흑2의 교환을 선수의 활용으로 보고 백3을 서두른 것이다. 단지 백3으로 B의 곳에 상변을 둘러싸면 가장 상식적이었으며, 흑은 이 쪽이 나았을지도 모르겠다. 이어서 흑A, 백C의 순서가 된다.

참고도8
<제3도> 흑4로 <참고도8> 흑1로 뻗어 백5까지 흑 넉점을 버리고 흑7로 뛰어드는 것이 유력했다. 이하 백22까지 예상되어 형세불명인 듯 하다.

참고도9
<제3도> 흑4가 백5와 교환되어 문제였다.
<참고도9> 흑A 또는 B의 선수활용이 자멸되어 백1의 치중이 준엄해 졌다. 흑2 다음 흑C의 건너가는 수가 있고 없고에 대단한 차이가 있다.

제4도
흑1, 백2를 교환한 다음 전술한 백Aㅇ에 대비해서 흑3을 생략할 수 없다. 이때 백4로 최후의 큰 곳을 점거했다. 백4로서 B로 젖혀나가 흑 넉점을 잡는 것은, 흑C의 침입에서부터 상변을 유린당해서는 견딜 수 없다. 백8은 백D의 내려서는 수를 엿본 것.
백12로는 <참고도10> 백1도 있으나 백7 다음 흑A를 선수로 활용당하는 것이 괴롭다.

참고도10

제5도
바야흐로 최후의 승부처이다. 흑1로 덤빈데 대해 백2로 자중해서 받은 것은 당연. 백2를 A는 흑B의 치중수가 있어 나쁘다.
흑5의 붙임은 강수. 이에 대해 <참고도11> 백1로 받으면 흑2, 4를 선수 활용하고 흑6 이하 12까지 이쪽 흑을 연락한 다음 흑14로 누른다. 이것은 흑의 주문으로 보이며 흑세가 두터워서 백이 불충분하다.

참고도11

참고도12
또 <제5도> 백6으로 <참고도12> 백1의 젖힘이면 흑2로 되젖혀 흑4, 6으로 이어 형세가 막연해진다.
백7로 내려서면 흑8, 백9, 흑10이 되어 右上의 백의 안형에 불안이 생긴다.
<제5도> 백6으로 말없이 내려선 것은 그러한 이유가 있었다.

제6도
흑1 이하 7까지 이 흑을 연결한 것은 지금에 와서는 크다. 이 수순중 백2로서 A에 받는 것은 문제가 안된다.
흑9의 붙임수는 <참고도13> 백1로 늘면 흑2로 젖혀 중앙을 두텁게하자는 의도인듯 살펴진다.

참고도13

제7도
백은 흑▲의 붙임을 방치한 채, 백1의 마늘모를 선수로 활용하고 백3으로 내려섰다. 백1은 뒤에 백A, 흑B, 백C의 끝내기를 보고 있다. 백A 때 흑C로 차단하는 것은 <참고도14> 백3 이하 15까지의 수단이 있어 무리이다.
백3에 흑6으로 끈 것은 정수. 그러나 다음의 백의 한 수가 앞서부터 노린 점이었다.
이것은 <제4장>에서 과제로 삼겠다.

참고도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