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사카다의 바둑/전략의 묘

제2장-제6형

kimdong 2020. 9. 25. 16:17
728x90

제2장-제6형

제6형(백선)

 

  제2기 명인전 시합 제4국 후지사와 히데유키 名人과의 대국, 사카다 백번.

  백1로 뻗을 때 흑2로 뛰었다. 다음에 백은 상변으로 방향을 돌려 착수해야 할 곳이다. 단지 1까지의 백 일단도 아직 들뜬 돌이어서 안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제1도

 

  백1로 좌상의 흑 일단에 덤빈 것은 이 한 수 뿐인 듯 하다.

 

 

 

 

 

 

 

 

 

 

 

 

 

 

 

 

 

참고도1

 

  <제1도> 흑2에 대해서 <참고도1> 흑1로 날일자하는 것도 생각했다는 名人의 국후감이었다. 백2면 이하 흑5까지 예상된다. 

  <제1도> 백3, 흑4로 교환한 다음 백5로 최대한 벌려 다가섰지만 흑A로 뛰어드는 여지를 남겼다.

  따라서 백5로는 <참고도2> 백1로 뛰어 흑2에는 백3으로 한 밭 좁게 벌리는 것이 유연했을는지 모른다. 거기서 흑4면 백5부터 7까지 수습하여 안전된다.

 

 

 

참고도2

 

  

 

 

 

 

 

 


제2도

 

  흑1의 미는 수는 백2로 뻗게 되어 이 백을 굳혀주어서 두기 거북하다.

  흑1로는 <참고도3> 흑1로 뛰는 것이 보통이며 백2, 흑3, 백4 다음 흑5로 뛰어드는 바둑이 되겠다. 이하 흑9까지 이 편이 흑으로서는 재미있었을 것이다.

  <제2도> 흑3, 5로 공격당했지만 흑5로는 A에 다가서는 것도 호점. 흑5에 대해 백B로 뛰면 상식적이지만 그렇게 해서는 불충분하다고 보았다.

 

 

 

 

 

 

 

 

 

 

참고도3

 

 

 

 

 

 

 

 

 

 

 

 

 


제3도

 

  백1은 필사적인 승부수. 경우에 따라서는 상변의 백을 버릴 각오로 백A에 들여다 보는 맛 등을 엿보면서 강하게 나간 것이다.

  백1을 <참고도4> 백1로 뛰는 것은 흑2로 노골적으로 공격당해도 나쁘며 또 흑2로 A 또는 B 정도에 두어도 자신을 가질 수 없다.

  <제3도> 흑2는 이렇게 공격할 수 밖에 없는 곳. 흑2를 <참고도5> 흑1로 기대는 것이 보통이나 백2, 흑3 때 백4로 들여다보는 수가 준엄하다. 흑5로 6의 곳에 이으면 백A로 나오게 되어 곤란하다. 결국 백10까지 바꿔치는 결과가 되어 흑이 좋지 않다.

  그런데 <제3도> 백3이 챤스를 놓쳤다. 백3으로는 <참고도6> 백1의 건너 붙임이 절호였으며, 이것으로 백 불리라고는 생각되지 않았다. 이어서 흑2면 백3부터 5, 7로 好形으로 잇고, 흑8에는 백9를 선수로 활용한 다음 11로 마늘모해서 충분했다.

  <참고도6> 흑2를 <참고도7> 흑1로 들이대면 백2, 흑3, 백4로 나와 끊어 흑5, 백6으로 내려서서 백A와 B를 맞본다.

  또 <참고도6> 흑4를 <참고도8> 흑1로 끌면 역시 백2, 4로 나와 끊어 이하 흑11 때 백12로 먹여치는 好手를 쓰고 백14로 몰 때 흑12 곳에 이으면 백A, 흑B, 백C의 단단한 수로 떨어진다.

  그러므로 백14 때 흑은 C 또는 D로 몰아, 패싸움으로 견딜 수 밖에 없지만 백12로 <패> 따낼 때 흑의 팻감은 E 곳 밖에 없으며, 백은 여기에 개의치 말고 무조건 <패>를 해소시켜 유리한 결말이 된다.

 

참고도4

 

 

 

 

 

 

 

 

 

 

 

참고도5

 

 

 

 

 

 

 

 

 

 

 

참고도6

 

 

 

 

 

 

 

 

 

 

 

참고도7

 

 

 

 

 

 

 

 

 

 

 

참고도8

 

 

 

 

 

 

 

 

 

 

 


제4도

 

  흑1은 <참고도9> 흑1로 붙여 기대나가는 것이 좋으며, 이것이라면 중앙의 백이 괴로워져서 큰 곤란을 받았을 것이다. 백2로 끌면 이하 흑7까지 상변 백의 수습이 용이하지 않다. 또 <참고도9>의 백2로 <참고도10> 백1이면 흑2, 백3 다음 흑4로 꼿꼿하게 이어서 흑 우세.

  <제4도> 백2, 4로 나와 끊게 되어서는 흑의 허술한 곳이 눈에 띄어 거꾸로 백이 재미있는 기세가 되었다.

 

 

 

 

 

 

 

 

 

 

참고도9

 

 

 

 

 

 

 

 

 

 

 

 

참고도10

 

 

 

 

 

 

 

 

 

'사카다의 바둑 > 전략의 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제7형  (0) 2021.02.08
제2장-5형  (0) 2020.09.12
제2장-제4형  (0) 2020.07.21
제2장 제3형  (0) 2019.05.08
제2장 제2형  (0) 2019.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