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제2형
제2형(백선)
요미우리신문 특별기전 오청원 구단과의 6번기에서 사카다의 백번.
서반에서 중반으로 넘어갈 즈음 흑1로 걸쳐왔다. 여기서 순하게 받느냐 또는 강하게 반발하느냐가 문제점이다. 반발을 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진행을 예상하고 가부를 결정지어야 한다.
참고도1
백1로 받으면 물론 무리. 흑은 계속해서 2, 4를 선수 활용하고 좌상 6으로 다가설 것으로 예상된다. 흑은 2 이하를 보류하고 바로 6으로 다가서는 것도 있을 것이다. 좌우간 이것은 흑의 주문에 따르는 결과가 되어 불만이다. 백1을 A로 늦추어 받는 것도 大同小異다.
제1도
아뭏든 백1로 반발하고 싶은 곳이다. 흑2로 누르는 것은 기세상 당연. 이 다음의 백의 착수에 一考를 要했다.
제2도
백1의 날일자 뜀. 이렇게 두어야 할 곳이라고 생각했다. 흑2는 이것밖에 없는 수. 이때 백3으로 밀고 나오는 타이밍이 좋다. 물론 A의 건너붙임이 백이 노리는 곳. 백1로 B의 한칸 뜀으로는 이 노림수가 없다.
참고도2
<제2도>의 1을 두지 않고 그냥 <본도>의 백1은 흑2, 4로 타이밍 좋게 수습을 당하고 만다. 흑2 외에도 단순히 4의 곳에 날일자로 두는 것도 있겠다. <본도>에서 백A로 뛰어드는 노림은 흑B로 뻗게 되어 도리어 백이 공격당할 염려가 있다.
참고도3
또 백1로 이렇게 날일자하는 것은 흑2의 마늘모로 움직여 재미없다. 백1은 역시 <제2도>와 같이 중앙으로 발을 빨리 옮겨 흑을 크게 공격해야 할 곳이다.
제3도
흑1에는 계속해서 백2로 눌러 역시 크게 공격한다.
흑3은 A의 건너붙임을 방비한 것. 백4, 흑5로 되는 진행이지만 수순중 백2로 A에 건너붙이는 수단은 당연히 생각했다.
참고도4
백1의 수단은 흑2 이하 백5, 7로 되몰아 외곽을 조이는 것도 계산에 들어 있다. 그러나 지금 당장 단행하는 것은 흑8로 젖히는 수에 저항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백9 때 우상귀 흑10의 <팻감>이 절호여서 백11로 <패>를 해소하여도 흑12로 잡히게 되어 백이 불리하다. 이런 사정은 하변의 백이 아직 불완전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흑으로부터는 아직 A로 누르는 끈덕진 수가 남아있어 무조건 잡히지 않는다.
제4도
백1 이하로 치열한 다툼이 계속된다. 백3 때 흑4로 달아난 것은 부득이한 곳이다. 흑4로.....
참고도5 참고도6
<참고도5> 흑1로 젖힐 생각은 간절하지만 그렇게하면 백2로 되젖히게 되어 피할 수 없는 큰 싸움이 된다. 기세상 흑3의 절단이겠지만 백4, 6으로 몰고 8로 끼워넣는 강렬한 수법이 생긴다. 이어서 흑A로 나오면 백B, 흑C, 백D가 되어 흑이 몰사. 결국 흑3의 절단은 무리수이며, 따라서 흑3으로는 <참고도6> 흑2로 끄는 수가 그것이다. 이것으로 계산이 있으면 문제는 없겠지만 이것 역시 백3의 건너 붙임에서 흑8 때 백9, 11로 외곽을 꽉 둘러싸는 수단이 있어 흑이 위태롭다.
제5도
싸움의 경과도이다. 백1은 급소. 이것을 2에 뻗으면 흑은 좌변에서 손을 뺄지도 모른다. 백1이면 다음에 A로 누르는 수가 준엄하므로 흑2, 4로 응해 온 것은 당연하다. 백B, 흑C, 백D의 <축>은 흑 유리. 결국 9까지 되었지만 아뭏든 복잡한 바둑으로 이끌게 되었다. 그리고 백9로는 아래 <참고도7>의 백1, 3으로 이쪽에서 싸우고 있을 틈이 없다. 우측 흑4로 오게되어 양쪽의 백이 동시에 공격당하기 때문이다.
참고도7
'사카다의 바둑 > 전략의 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제4형 (0) | 2020.07.21 |
---|---|
제2장 제3형 (0) | 2019.05.08 |
제2장 제1형 (0) | 2019.02.26 |
제2장 중반의 전투 (0) | 2018.12.11 |
전략의 묘 제11형 (0) | 2018.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