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도(백선)
백1에 붙이고 3으로 젖혔는데 흑4부터 6으로 노골적으로 잡으러 들었다. 분명히 흑4로는 A의 곳에 잇는 것이 정석이라고 알고 있는데, 백은 어떻게 수습해야 할까?
1도(정석 수순)
흑1로 잇는 것이 정석. 다시 말해서 正手인 것이다.
백도 2로 이어 흑3에 젖히면 백4로 반대방향을 젖혀 흑5로 막으면 백6으로 내려서고, 계속해서.....
2도(흑A, 백B의 교환은 보류)
흑7로 보강해서 일단락이다.
흑7로 보강하기 전에 흑A와 백B를 교환해 놓는 수도 있지만, 그 교환은 보류하는 편이 좋다.
3도(문제도에 대한 백의 올바른 응수)
백1로 끊는다. 흑2로 막아 저항하면 백3으로 기는 수가 있다. 계속해서.....
4도(흑4는 악수. 귀의 흑이 잡힘)
흑4로 뻗으면 백5로 내려서고 백7로 치중하여 귀의 흑이 잡히고 만다.
이렇게 되면 큰일이므로 흑4로는.....
5도(흑4의 변화. 백4로 목적 달성)
흑1로 단수하고 3으로 막는 수밖에 없다. 백은 이 두 점을 사석으로 삼아 백4로 젖혀서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였다.
흑은 A로 단점을 지키는 정도일 것이다.
또 백4로 젖히는 대신.....
6도(백4의 변화. 5도와는 일장일단)
백1로 끊어 흑2에 이었을 때 백3, 5로 흑4, 6을 응수시키는 것이 외세를 얻어 능률적인 것 같지만, 그 대신 흑을 견고하게 만들어주는 결과가 되므로 일장일단이 있는 곳이라 하겠다.
7도(3도 흑2의 변화)
백△으로 끊었을 때 흑1로 밑에서 단수하고 3으로 미는 강수도 있지만.....
8도(백이 선수. 역시 백 유리)
백4로 젖혀 5로 듣게 하고서 백6으로 젖혀 올려 백은 불만이 없다.
결국 흑7을 생략할 수 없으므로 백은 선수를 뽑고 다른 곳에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백은 <3도>의 백1로 끊어놓기만 하면 어떻게 수습이 되지만, 그 수를 모르고.....
9도(백1, 3은 불가)
백1에서부터 3으로 기거나 하는 것은 흑의 주문에 빠지는 결과가 된다.
'사카다의 바둑 > 비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대의 교란작전을 분쇄하는 전략 (0) | 2020.10.16 |
---|---|
세력권을 <삭감>하러온 적의 퇴치법 (0) | 2020.09.09 |
어려운 정석의 올바른 수순 (0) | 2020.08.30 |
깊숙히 침입한 적을 추궁하는 수단 (0) | 2020.08.21 |
3.三에 침입한 수를 잡는 법?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