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도(흑선)
2점 접바둑이다.
백1로 붙여서 세력권을 삭감하러 왔는데, 흑은 이 백을 어떻게 퇴치할까?
이 백을 잡는다는 것은 조금 무리다. 교묘하게 공격하면서 이익을 올린다는 방법이 현명하다.
그 교묘한 공격 방법은.....
1도(백을 잡는 것은 무리, 공격하면서 이익을 도모)
흑1로 서는 것이 좋은 수. 백은 2로 어깨를 짚은 다음 4, 6으로 뻗어 탈출하는 정도이므로, 흑7로 왼쪽에 집을 장만하면서 공격을 계속하는 것이다.
수순 중 백4로.....
2도(1도 백4의 변화. 1도와 비슷한 결과)
백1로 뛰어 발빠르게 탈출하면, 흑도 2에서부터 4로 진출하고 흑8까지 예상되는데, 이것도 아직 백을 공격하는 맛이 남아있고 왼쪽 흑집도 훌륭하다.
3도(흑1로 젖히는 상식적인 정석은 불가)
백△의 붙임수에 대해서는 흑1로 밑을 젖히는 것이 보통 중간 정석이라고 하지만, 이 경우는 좋지않다.
백은 흑이 이렇게 정석대로 두어주기를 바라고 있는데, 이런 곳에서 상대의 주문대로 두어주면 안된다.
백2의 2단 젖힘에 흑3, 5가 올바른 응수지만 백6에서부터 8이 안성마춤이다.
계속해서.....
4도(백16이나 A로 수습)
흑9의 단수인데, 백10으로 꼬부리고 12, 14로 붙여 뻗은 다음 백16이나 A로 두어 일단은 수습이 된 모양이다. 그런데 보통 우리들은(아마추어).....
5도(흑1은 백에게 수습을 허용하는 악수)
흑1로 젖히는 편이 준엄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 경우는 다소 적절하지 못한 점이 있다.
백2에 늘었을 때 흑3으로 잇지 않을 수 없으므로 백4, 6으로 수습해 버리고 만다. 흑1은 결국 백에게 수습하는 계기를 허용해준 것이 되었다.
원래 백은 <문제도>의 1로 붙인 것이 약간 뻔뻔한 수인데.....
6도(백1, 3으로 삭감하는 정도)
백1로 모자를 씌우는 정도의 수이며, 흑2라면 백3으로 삭감할 곳이다.
'사카다의 바둑 > 비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대의 교란작전을 분쇄하는 전략 (0) | 2020.10.16 |
---|---|
정석에도 없는 수로 잡으러왔을 때 (0) | 2020.10.05 |
어려운 정석의 올바른 수순 (0) | 2020.08.30 |
깊숙히 침입한 적을 추궁하는 수단 (0) | 2020.08.21 |
3.三에 침입한 수를 잡는 법? (0) | 2020.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