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의 양걸침에 대해 흑1로 붙인 장면인데, 백2로 젖혀나왔다. 예상치 못한 수에 흑은 어떻게 두는 것이 좋을까? 분명히 백이 무리지만 흑도 응수를 잘못하면 위험하다.
흑1로 끊는 한 수. 이것으로 흑이 불리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백의 응수는 A, B 두 곳. 먼저 A의 응수부터 검토해 보자.
백2로 서면 흑은 3으로 단수하고 5로 미는 것이 준엄하다. 백6에는 흑7로 빠지고 백8에는 흑9로 인해 이 백 전부를 잡을 수 있다. 그런데 백6으로 마늘모하는 대신.....
이렇게 백1로 늘면 어떻게 될까? 역시 2로 막는 한 수. 그리고 백3으로 뛰면 흑4의 꼬부림이 좋은 수이고, 백5에 이으면 흑6에 젖혀 <2도>와 비슷한 결과가 된다. 또 한가지 흑에게 염려되는 백의 저항수단은 백1로 내려서는 대신.....
이렇게 백1로 꼬부리면? 흑은 어쨋든 2로 막는 한 수인데, 백이 노리는 것은 3으로 젖히고 5로 끊은 다음.....
백7로 맞끊어 단수하는 것. 이것이 백의 노림수였다. 이렇게 되면 <축>관계가 문제가 되는데, 만약 흑이 <축>이 불리하다고 가정해도 흑8에 젖혀 백9의 빵때림을 허용하는 대신, 흑도 10으로 백 두점을 잡아 이 역시 흑이 둘 만하다.
그러나 백도 상당히 두터워졌으므로, 만약 흑이 이 갈림을 싫어한다면.....
백△(4도 백3)으로 젖혔을 때 흑1로 꽉 잇는 수도 있다. 백은 2, 4로 젖혀잇는 수 밖에 없는데, 여기서 흑에게는 임기응변의 좋은 수가 있다.
흑5의 마늘모로 붙이는 수가 좋은 수여서 백의 응수가 다소 난처하다. 만약 백6으로 젖혀 삶을 확보한다면 흑7로 젖히는데, 이 갈림은 아무리 보아도 흑이 나쁘지 않다.
다음으로 백의 또 하나의 응수, 즉.....
백1(1도의 백B)로 응수하면 어떻게 될 것인지 검토해 보자.
사실 흑의 입장에서는 이쪽이 비교적 간단하다.
흑2로 급소에 늘면 백3해도 흑4로 막아, 흑▲이 백의 급소를 끊고 있는 결과다.(수 나누기)
이상의 검토를 통해 <문제도>의 백2가 무리임을 알 수 있었다. 그 수로는.....
백1로 젖힌 다음에 <3.三>에 뛰어드는 정도라는 결론이 나온다.
'사카다의 바둑 > 비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려운 정석의 올바른 수순 (0) | 2020.08.30 |
---|---|
깊숙히 침입한 적을 추궁하는 수단 (0) | 2020.08.21 |
3.三에 침입한 수를 잡는 법? (0) | 2020.08.16 |
2단 젖힌 속임수 격파법 (0) | 2020.08.13 |
정석을 무시한 대표적인 존재 (0) | 202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