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고수의 감각/고수의 수읽기

고립된 돌을 공격하는 필연의 한수는?

kimdong 2018. 9. 5. 18:33
728x90

고립된 돌을 공격하는 필연의 한수는?


문제도(흑선)

  서반은 첫째 빈 귀, 둘째 굳힘이라 했지만 <문제도>는 빈 귀가 없고 굳힐 곳도 없어 변의 전개에 이르렀다. 이 국면에서 어디를 둘 것인가의 문제다. 바둑은 상대의 약점을 찾는 것과 자기의 약점을 보완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상대의 약점을 찾는 것이 급선무.






정해도(적의 약점을 찌른다)

  흑1이 정해. 백2로 뛴다면 흑3으로 모자를 씌운다. 백4에는 흑5로 치받고 7로 크게 공세를 취한다. 백의 고전이다.



실패도1

  하변 쪽 흑1은 모양 확대이긴 하나 이 상황에서는 완착이다. 백2가 더욱 값진 수가 된다.



실패도2

  좌변 흑1의 모자는 다음 A를 보고 있으나 신통치 못하다. 흑B도 동일하다. 백은 즉시 2로 벌려 한숨 돌리게 될 것이다.



참고도

  정해수의 흑1에 대한 백의 응수는 좌변의 백2로 뛰는 정도. 그러면 흑은 상변에 3으로 뛴다. 백△은 그 활동력을 상실하고 만다.


  이렇듯 바둑은 상대가 右에서 오면 左에, 좌에서 오면 우에 두는 여유를 가져야한다. 이것을 소위 맞보기라 한다. 이 맞보기를 항상 기억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