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고수의 감각/고수의 수읽기

매서운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한수는?

kimdong 2018. 7. 5. 14:29
728x90

매서운 위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한수는?


문제도(백선)

  흑▲으로 우상귀에 철주를 내렸는데 백은 어떻게 두어야 할 것인가가 문제의 핵심이다. 백은 다음 한수로 세력의 필쟁점을 점령해야만 한다. 과연 그곳은?




정해도

  정해는 백1로 한칸 뛰어 둔다. 이 수는 자기 진용의 모양 확대를 뜻하는 동시에 우변 흑모양을 지우고 고립된 백△에 응원을 보내는 만점수. 백모양을 저지하려 흑2로 두면 백3으로 뛰어 들어 장차 A의 붙임과 B의 건너붙임을 노린다.



실패도1

  <정해도>의 백1이 얼마나 호착인가는 반대로 흑이 이곳에 먼저 두어 흑의 진용이 막강하게 전개됨을 생각하면 짐작이 간다. 백2, 흑3으로 흑의 필승 국면.



실패도2

  백1의 뜀은 흑2의 호형을 허용함으로 쓸모가 없다. ▲에 철주가 있을 때는 백1은 무거운 돌이 된다.


  세력의 필쟁점을 점령하는 것, 고수는 이것을 감각적으로 포착한다. 집과는 직결되지 않지만, 승부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