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고수의 감각/고수의 수읽기

축의 탈출이 의미하는 다음 한수는?

kimdong 2018. 6. 13. 16:18
728x90

축의 탈출이 의미하는 다음 한수는?


문제도(흑선)

  <문제도>는 흑이 <축>이 불리한 걸 알면서도 1로 끊어 백이 단수한 장면이다.

  다음 흑은 어떠한 구상으로 어디에 둘 것인가?



정해도(축머리를 받지 않으면 피해가 크다)

  흑1이 정수. 이것은 흑▲의 축머리로 흑1로 둔 것이다. 백2로 받자 흑3 이하 흑▲을 움직여 나왔다. 흑을 도망치게 하더라도 이렇게 하는 것이 백으로서는 피해를 줄이는 것이 된다.



정해도 계속

  흑1에 대해 백2로 따내면 흑3으로 상변을 뚫는다. 백으로서는 그것이 통렬하므로 허용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실패도

  같은 <축>머리라도 흑1의 모자 씌움은 신통치 못하다. 백2로 따내더라도 흑은 상변의 백에 누름수를 둘 수가 없기 때문이다. 흑1로 우하귀 쪽 A에 걸친다 해도 백2로 따면 백이 유리해질 뿐이다.




참고도

  <문제도>에서 <정해도>까지는 수순의 묘가 있다. 만일 흑1, 백2를 먼저 교환한 다음 흑2으로 끊으면 백은 4로 단수하면서 변신한다. 그 결과 백이 일거에 백10까지 강력한 벽을 만들어 백의 우세가 확정된다. 물론 흑1, 백2의 교환은 흑의 대악수.


  참고로 <축>의 탈출은 한수마다 5집 손해라는 얘기가 있다. 멋 모르고 두어서는 바둑은 끝장이다. 고수는 <축>을 역으로 이용해서 효과적인 <축>머리를 둔다. 우리 아마추어들도 <축>의 이용법을 배우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