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발도 물러설 수 없는 접근전의 한수
문제도(흑선)
제5기 기선전 최고기사 결정전 1회전 橋本昌二(하시모토 쇼지) 흑, 大竹英雄(오오다케 히데오)
좌하귀의 흑의 대사형이 생긴 초반전, 흑1로 나와서 백2로 응수한 것.
다음 흑의 한수가 먹느냐 먹히느냐의 맹렬한 공방전이 시작된다. 하시모토9단이 진면목을 발휘할 다음 한수는?
정해도
정해는 흑1로 이곳에서 단수하는 수. 백2는 당연, 단수가 된 흑은 3으로 뻗는 것도 당연하다. 흑1은 승부의 세계에 사는 프로의 진면목으로 기합이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실패도1
흑1, 3, 5로 쭉쭉 미는 것은(이런 것을 수레 뒷바퀴를 밀어준다고 한다) 좋지 않다. 백6까지 5선을 뻗게하여 좌변에 백집을 만들어 줄 뿐 아니라 하변의 백 넉점에도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애초에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
실패도2
앞의 진행이 나쁘다 하여 흑1로 마늘모하는 것은 백2로 뻗어 역시 <전도>와 크게 다르지 않다.
참고도
<정해도>의 다음 진행을 보자. 흑3은 A의 끼움을 노린 것으로 백4는 절대수. 이 백은 일견 <축>의 형이지만 서로의 공배가 메워져 <축>은 안된다. 그러나 흑은 백6 다음 7로 <축>을 몰지 않으면 백이 뻗게되어 가운데 흑이 곤경에 빠진다.
'고수의 감각 > 고수의 수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석을 이용하여 큰 곳에 전환하는 기발한 수 (0) | 2018.03.07 |
---|---|
허용해선는 절대 안되는 정석의 한수는? (0) | 2018.02.27 |
기착점을 활용하는 다음 한수는? (0) | 2018.02.20 |
포석의 이상형을 삭감시키는 절대의 한수는 (0) | 2018.02.05 |
검토실 기사들을 감탄시킨 감각의 한수 (0) | 2018.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