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충수의 맥(점)
<공배 메움은 자신의 몸을 묶는 수>라는 말이 있다. 이 공배를 자신이 메꾸는 것을 <자충수>라 한다.
<촉촉수>, <환격> 등은 모두 자충수로 인한 것으로서 누구나 한번쯤은 쓰라린 경험을 했을 것이다.
이 무서운 <자충수>를 피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신중한 주의와 수읽기의 정확을 기해야 하는데 그 이전에 필요없는 공배를 메꾸지 않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바꾸어 말하면 상대방이 쓸데없는 공배를 메꾸어 온다면 즉시 그것을 응징하지 않으면 안된다.
1도
선수 끝내기를 한답시고 백이 1로 밀고 3으로 젖혔다. 이 백1, 3이야말로 無用의 공배 메꾸기인데 흑4에 대해 손을 뺀다면 어떻게 응징할 것인가?
2도
흑1, 3으로 끊고 내려서는 수가 백의 자충을 응징하는 <맥>이다.
이 흑 두점을 잡기 위해서는 백4로 단수할 수밖에 없지만(백A의 단수는 불가하므로).....
3도
흑5로 먹여치면 모두 끝난다. 흑5의 한점을 따낼 수도 없거니와 백A로 흑 두점을 따내면 흑B로 따내어 손끝 하나 댈 필요없이 백은 그대로 몽땅 잡힌다.
<1도>의 백1, 3이 선수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자충수>를 유발한 대악수이다.
4도
흑1로 이단젖혔을 때 백2, 4로 양단하여 크게 공격할 태세를 취했다.
그러나 이것은 터무니없는 대실수. 흑에게는 백의 <자충수>를 응징할 수 있는 맥점이 있다.
5도
바로 흑1,3으로 끊고 느는 수가 그것이다.
백은 자충 때문에 A, B 어느 곳도 손을 쓸 수가 없어 고스란히 잡히고 만다. 이렇게 되면 백△을 둔 의미가 수포로 돌아간다.
6도
흑1로 내려서자 백2로 끈 장면.
이런 곳에서도 <자충>을 응징하는 맥점이 있다. 흑이 자충을 노린다면?
7도
흑1로 끊고 3으로 <축>몰이 하는 것은 책략부족.
귀의 흑 두점은 그대로 잡히고 백의 무리수가 통한 꼴이다.
8도
흑1로 단수하면 백2로 따낼 수밖에 없고 흑3으로 다시 단수. 백이 단수를 이으면 흑A로 끊어 <촉촉수>가 성립된다. 이런 쉬운 맥점은 놓쳐서는 안된다.
'맥(手筋)공부 > 맥AB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을 침략하는 맥 (0) | 2017.12.12 |
---|---|
수상전의 맥(수줄임) (0) | 2017.12.02 |
先手를 잡는 맥 (0) | 2017.11.06 |
돌을 연결하는 맥 (0) | 2017.10.12 |
형태를 무너뜨리는 맥 (0) | 2017.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