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기초공부/바둑격언·명언

호수와 악수는 바로 이웃에 있다

kimdong 2017. 10. 11. 22:43
728x90

호수와 악수는 바로 이웃에 있다


  호수와 악수는 대체로 바로 이웃에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서 특히 국지전에서 이런 경우가 흔하다.

  <당신이 두고 싶다고 생각하는 바로 이웃에 두면 그것이 좋은 경우가 많다>.



기본도1(흑선)

  포위된 흑 9점이 달아나는가 아니면 백을 잡는가의 절체절명의 순간이다.






1도

  흑1, 백2는 당연한데 여기서 흑3, 5로 한걸음씩 나간다면 대책이 없다. 결국 백6으로 이어 아까운 고기를 놓치게 된다.

  흑3이 속수이기 때문이다.




2도

  <악수의 이웃> 즉 당신이 둔 바로 옆에 호수가 있다. 흑3으로 끼우는 수가 호수이고 백4면 흑5로 뻗어 백의 탈출로를 차단할 수 있다. 만일 백4로 5에서 단수한다면 흑4에 이어 절단점이 두곳에 생겨 백은 달아날 수 없게 된다.

  흑3의 활약에 주의를 하자.

  수가 나쁜 사람에게는 사고방식에 한가지 맹점이 있다. 돌 하나하나 거듭해서 나가는 힘은 남보다 강할지 모르지만 <돌의 활약>이나 <돌의 비약>에 대한 의식은 상대적으로 약한 것 같다.

  이런 사람일수록 두고 싶은 지점의 옆을 한번 더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기본도2(흑선)

  흑 모양에 약점이 있어 보인다. 귀의 백에 맞서 자신의 모양을 견고히 할 필요가 있다.






1도

  흑1로 직접 누르는 것은 백2, 4로 젖혀 실패. 흑7로 호구쳐도 A의 약점이 심상치 않다.



2도

  흑1로 두는 것도 백2의 마늘모가 좋아 <1도>처럼 결점에 대처할 수 없다.

  흑1을 A에 호구쳐도 백에 대한 영향력이 빈약하고 백1로 두어 재미가 없다.



3도

  <1, 2도>를 눈여겨 보면 백2의 자리가 급소임을 알 수 있다. 즉 그림의 흑1로 한칸 뛰는 수가 호수이며 백2 이하 6, 8로 한점을 잡지 않을 수 없고 흑9까지 선수. 이 다음 흑A로 지켜도 좋고 흑B에 벌려도 좋다. 백8로 9에 미는 수가 성립하지 않는 것이 백의 원통함이다.

  이처럼 두고 싶다고 생각하는 이웃에 뜻밖에 정수와 급소가 잠복하고 있음을 명심하자.


'기초공부 > 바둑격언·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돌을 잡고서도 바둑에는 진다  (0) 2017.11.14
끊기를 들여다 보지 말라  (0) 2017.09.27
끊은 쪽을 취한다  (0) 2017.09.05
날일자의 배(腹)는 나오지 말라  (0) 2017.06.17
끊는 한 수, 승부처  (0) 2016.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