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도(백선)
백1로 삶을 모색하자 흑이 2로 치받은 장면이다. 이 경우 백은 어떤 방법으로 형태를 정비하는 것이 최선일까?
1도(정답)
백1로 호구치는 것이 탄력적인 응수법이다. 흑은 이 백을 잡을 수 없다.
2도(백, 삶)
백1 때 흑2로 막는 것은 하변을 중시한 선택이다. 흑은 후수가 되었지만 외세가 너무 튼튼해서 충분하다.
3도(패)
흑이 ▲으로 막았을 때 백은 손을 빼고 둘 수도 있다. 팻감이 많다면 2로 둬서 <패>로 버틸 수 있다.
4도(흑의 변화)
백1에 흑2로 단수치고 4로 이은 것은 좌변을 중시한 선택이다. 이에 백은 한칸 뛰어 손쉽게 안정한다.
5도(흑, 손해)
흑1 백2 때 흑3으로 막는 것은 손해다. 백은 4, 6으로 단수쳐서 흑 한점을 잡고 살 수 있다. <2도>와 비교해 봐도 흑이 불리하다.
6도(백, 의문수)
흑1 때 백2로 잇는 것은 의문이다. 4, 6으로 아직 완벽한 삶이 아니다.
7도(패)
치중한 뒤 백 4에 흑5면 흑의 꽃놀이<패>다.
8도(실패)
<기본도>로 돌아가서 백1로 내려서는 거은 매우 좋지 않다. 흑2로 막을 땐 백3으로 호구치면 살수는 있지만 흑4, 백5까지 옹색한 삶의 모습이다
9도(패)
흑1 때 백2로 호구치는 것은 더더욱 좋지 않다. 흑3 때 백4로 두어 <패>로 버티겠다는 뜻이지만 흑5까지의 백의 피해가 크다
10도(또다른 침투)
이와같은 형태에서는 3.三에 들어가지 않고 1로 붙이는 수를 많이 두고 있다. 백1로는 A 또는 B에 두는 것도 가능하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구자에 대한 대응 (0) | 2015.01.04 |
---|---|
두칸 굳힘과 3.삼 침입 (0) | 2015.01.03 |
한칸 굳힘과 3.삼 침입 (0) | 2015.01.01 |
날일자 굳힘과 3.삼 침입 (0) | 2014.12.31 |
변에 백돌이 있을 때 응수 (0) | 201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