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도(백선)
백1로 침투하고 흑2, 백3까지 진행되었을 때 흑4로 입구자해서 응수한 장면이다. 이 경우 백은 어떻게 형태를 정비할까?
1도(정답)
흑1에 백은 2, 4로 젖혀 잇는 것이 보통이다. 흑이 5로 보강하면 백은 손을 빼는 것이 좋다.
2도(흑의 선수)
<1도> 이후 흑은 1로 막는 것이 선수가 된다. 백은 손을 뺀 댓가로 이 정도는 지불해야 할 것이다.
3도(흑의 무리수)
흑1, 백2 때 흑3으로 젖히면 귀의 백 자체로는 살 수 없다. 그러나 흑은 외곽의 약점이 있는 만큼 무리수가 될 가능성이 많다. 백도 주변 흑이 강할 경우 이 공격에 대비해 놓아야 한다.
4도(공격 불가능)
백4 이후로도 흑의 약점이 많아 봉쇄가 어려워 보인다.
5도(안전책)
흑1로 호구쳤을 때 확실하게 삶을 보장받고 싶다면 2로 치받는 것이 좋다. 흑3으로 받는다면 백은 더 이상 삶을 걱정할 필요가 없다.
6도(선수활용)
<5도> 이후 흑은 1, 3으로 젖혀 잇는 것이 선수활용이다.
7도(백의 보강)
백에게 선수가 돌아온다면 기회를 봐서 1, 3으로 젖혀 잇는 것이 좋다. 백은 후수가 되었지만 장차 A와 B의 들여다 봄을 선수할 수 있어 만족한다.
8도(흑 만족)
백1로 이었을 때 흑2로 치받는 것은 의문수다. 그러나 백이 3, 5로 젖혀 잇는다면 흑6까지 외곽을 튼튼하게 만들어서 흑의 만족이다.
9도(백의 반격)
흑1 때 백2로 껴붙이는 것이 좋은 수다. 이하 10까지 백이 크게 산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를 피해서 (0) | 2015.01.06 |
---|---|
날일자 굳힘 이후 지킴 (0) | 2015.01.05 |
두칸 굳힘과 3.삼 침입 (0) | 2015.01.03 |
치받음에 대한 대응 (0) | 2015.01.02 |
한칸 굳힘과 3.삼 침입 (0) | 201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