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붙임(껴붙임)
적의 돌에 대해 양쪽으로 붙여 그 돌을 부자유스럽게 하는 수법이다. 이 양붙임수를 찾아낼 정도가 되야 한다.
기본형(흑선)
문제는 아래쪽 흑 넉점에 있다. 즉, 아래쪽 흑만으로는 절대 살지 못할 것이므로, 모양이 정비되지 아니한 백의 약점을 찔러서 살리자는 것이다.
이런 정도의 문제는 직감적으로 제일의 착수를 발결할 수 있도록 감각을 훈련해야 한다.
1도
흑1의 양붙임이 맥이다. 백2로 끊으면 흑3으로 내려서는 수가 중요하다. 그런데 백2로 끊지 않고.....
2도
백1로 젖혀 단수해도 흑2로 이어 흑은 넘어가게 된다.
유제1(백선)
이 백은 도대체 어떻게 될까?
정해도
백1로 양붙임하는 수가 있다. 흑2로 다내면 백3, 흑은 응수가 없는 상태가 된다.
→
실패도
백1, 3으로 흑 넉점을 따내면--> 4, 5로 패가 된다.
유제2(흑선)
귀의 백집은 보기에는 상당히 넓어 보이는데.....
정해도
<양붙임>이라고 하면 이 흑1밖에 없다. 백2로 차단하면 흑3으로 끊고 7로 조여 이하 11까지 백을 잡는다.
실패도
흑1로 치중하면 백4로 잇는 수가 성립하기 때문에 흑 두점은 오히려 먹이를 준 셈이다.
유제3(흑선)
현재 흑은 <눈>이 한개 뿐이다.
정해도
실전이라면 찾기가 좀 어려운 수이지만 흑1의 양붙임이 맥점이다. 그런데 백2로.....
변화도
이렇게 백2의 곳을 이어도 흑3으로 쉽게 산다.
유제4(흑선)
귀의 백에게는 아직 약점이 남아 있다.
정해도
흑1의 양붙임이 대단히 준엄한 수이다. 백2로 따내게 해서 흑3으로 공배를 메우는 것이 중요한 수순이다. 만약 흑1로 3의 곳을 두어 백4일 때 흑1하면 백A로 살아버린다.
변화도
흑1 때 백2로 변화하면 흑3이 성립하므로 백은 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