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도(백선)
흑이 강력하게 1로 이단젖혔을 때 백의 대응이 관건이다. 흑▲ 한점이 4선에 놓여 있음을 고려할 때 백은 어떤 작전으로 맞서는 것이 최선일까?
다소 어렵지만 익혀두면 실전에서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다.
1도(정답)
이 경우 백은 1로 젖힌 후 3으로 절단하는 것이 적절한 대응이다. 흑은 A의 양단수 약점 때문에 응수가 쉽지 않다.
2도(흑, 망함)
백1로 끊었을 때 성급하게 흑2로 단수치는 것은 대악수다. 백3의 양단수로 흑은 망한 모습이다.
3도(흑의 최선)
백1로 끊으면 흑은 2로 잇는 정도. 계속해서 백3으로 단수칠 때 흑 4, 6으로 처리하면 귀를 차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백도 7까지 안정하고 나면 흑▲ 한점을 무력화시킬수 있으므로 충분하다.
4도(흑의 최강수)
백1로 끊었을 때 흑2로 단수치는 것이 최강의 대응이다. 백은 3으로 잇는 것이 침착한 응수로 이후 A와 B를 맞보기로 노리고 있다.
5도(백, 충분)
<4도> 이후 흑1로 호구친 수는 귀의 실리를 중시한 수다. 백은 2, 4, 6으로 움직이는 것이 좋다. 계속해서 흑은 어쩔 수 없이 3, 5, 7 이하 9까지 2선을 기어야 하는데 백10까지 흑▲ 한점이 폐석이 되고 말았다.
이후 흑은 백 한점을 잡고 귀를 차지하는 정도다.
6도(백, 우세)
흑이 <전도>와 달리 1로 따내는 것은 좋지 않다. 백이 2, 4로 단수쳐서 흑 한점을 제압하면 귀의 실리가 크다. 흑5 때 백이 바로 한점을 따내지 않고 6으로 이은 것은 정수다. 이후 흑이 A의 곳을 끊어도 귀에서 큰 수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7도(귀의 뒷맛)
<6도> 이후 1로 끊어도 수가 나지 않는다. 끝내기 정도다.
8도(백의 실수)
흑1 때 백이 2로 따내는 것은 실수다. 3의 선수 활용에 흑5로 뻗으면 흑 세력이 막강해진다. 수순 중 흑5는 생략할 수도 있다.
9도(흑, 만족)
<문제도>로 돌아가서 백이 1, 3으로 단수쳐서 흑 한점을 잡는 것은 좋지 않다. 흑은 4, 6을 선수하는 것이 적절한 대응이다. 흑8까지 두텁게 봉쇄하여 흑의 세력이 빛난다.
10도(백의 실수)
흑1 때 백2의 이음은 좋지 않다. 흑의 귀의 실리가 크며 A의 노림이 있어 흑의 즐거움이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석 이후 침투 (0) | 2014.12.24 |
---|---|
흑의 사석작전 (0) | 2014.12.23 |
이단젖힘에 대한 대응 (0) | 2014.12.22 |
높이와 넓이의 갈림길 (0) | 2014.12.21 |
벌림이 모두 3선일 경우의 선택 (0) | 2014.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