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한수 9 문제도(흑선) 상변과 귀의 흑을 서로 연결하고 싶다. 연결의 맥은? 1도(실패1) 흑1, 3은 백2, 4로 절단되어 실패다. 2도(실패2) 앞 그림보단 상당히 좋은 수이나 백2로 저항하여 <패>가 된다. 3도(정해) 흑1의 날일자가 연결하는 맥점이다. 백A면 흑B, 백B면 흑A.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3
다음 한수 8 문제도(흑선) 흑◎ 2점을 어떻게 이어야 할까? 가장 효율적으로 잇는 방법은? 1도(실패1) 흑1의 이음은 효율성이 제로다. 중앙 백 2점에 대한 압박이 전혀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2도(실패2) 흑1의 호구 이음이 능동적으로 보이나 백2를 두게되면 흑3 후 백4로 한칸 뛰게되면 흑의 고전이 역..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2
다음 한수 7 문제도(흑선) 정석의 형태인데 약점이 한군데 있다. 정해도 이런 곳은 주저하지말고 흑1로 꽉 이어야 한다. 바깥쪽의 두터움은 철벽이다.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2
다음 한수 6 문제도(흑선) 유명한 화점에서의 三.삼 침입 정석. 이 정석은 다음 한수로 완성된다. 흑의 약점을 보강하는 다음 한수는? 1도(실패1) 그림의 흑1의 호구 이음은 바른 연결이 아니다. 백 A의 노림이라든가 B의 붙임을 활용당하는 것이 결점이다. 2도(실패2) 흑1의 1칸 뜀도 좋지 않다. 백A의 붙..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2
다음 한수 4 문제도(백선) 흑이 연결된 것처럼 보이나 중대한 결함이 있다. 백의 다음 한수로 흑은 괴멸이다. 1도(실패1) 맥을 모르면 백1을 두고 3을 선수하는 정도로 만족할 줄 모른다. 물론 실패다. 2도(정해) 백1의 마늘모 붙임의 한수다. 흑은 A, B 두군데의 단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없다. 3도(계속) ..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2
다음 한수 3 문제도 (흑선) 우상귀 흑 석점과 흑(X) 한점을 연결하기 1도(실패1) 흑1, 3과 같은 행마는 말도 안된다. 백4로 실패. 2도(실패2) 경쾌한 흑1의 날일자도 엷은 수다. 백2, 4의 속수에도 흑은 엉망이다. 흑5로 건너도 백6의 끊음이 있다. 3도(정해) 흑1의 마늘모 붙임이 정맥이다. 백A면 흑B, 백B면 흑A..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2
다음 한수 2 문제도 (백선) 우변의 백 넉점이 살기 위해서는 흑▲ 두점을 잡아야 한다. 여기서 맥의 위력이 발휘된다. 1도(실패) 백1, 3의 단단수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2도(정해) 백1의 한방으로 흑 두점은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 바로 절단의 급소다. 흑은 A, B 두 군데의 끊음을 동시에 막을 수 ..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2
다음 한수 1 문제도(백선) 잡혀있는 백 2점을 이용해 좌우의 흑의 연결을 방해해 보자. 1도(실패1) 백1은 소위 속수다. 흑2에 후속수단이 없다. 2도(실퍠2) 백1로 붙이는 것이 맥처럼 보이나 흑2, 4의 끊음수에 대책이 없다. 3도(정해) 백1의 붙임이 맥이다. 흑2에 백3으로 단수쳐서 흑의 좌우를 분단시키..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2
문제2 문제도 (흑선) 백X를 어떻게 다루느냐가 포인트. 흑이 살기 위해서는 또다른 한집이 필요한 상황이다. 1도(정해) 흑1로 호구치는 것이 묘수. 백2에 흑 3이며, 백2를 A라면 물론 흑2. 2도(실패) 흑1의 단수는 실패. 백2, 4로 무조건 잡힌다. 물론 흑3을 백4로 받으면 <패>가 됨. 3도(실패) 흑1의 .. 사활공부/사활問題100 2014.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