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바둑 기본정석 소목, 고목, 외목정석 중 기초적인 것만 총망라한, 정석이란 어떤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추구한 책이다. 1978년 초판, 1981년산 6판 사카다 에이오 위의 '九段'... 종이로 오려 덧댄 것이 이채롭다. 바둑책 2014.12.15
3일 문제도 (흑선) 좌변의 백 세력이 굉장히 신경 쓰이는 국면이다. 흑은 이 세력을 어떻게 삭감해야 할까? 감각을 테스트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정해도(갈라 놓는다) 백(X) 한점이 좌하와 연결되면 백 세력은 튼튼해진다. 흑1로 어깨를 짚어(밭전자 행마)가야 한다. 백2로 찌르고 나오면 흑3, 5..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5
다음 한수 10 문제도(흑선) 흑 A로 잇기 전에 두고 싶은 한수가 있다. 1도(실패1) 단순히 흑1에 잇는 것은 백2로 지키는 것이 급소. 이 한수로 백은 모양이 정비되었다. 2도(실패2) 흑1로 막는 것은 아주 틀린 속맥. 역시 백2로 지켜 단점 해소됨. 흑3 이후 백4로 오히려 상변 흑 한점이 곤란하다. 3도(정해) 적.. 맥(手筋)공부/다음한수100 2014.12.14
테스트2 문제도(흑선) (모양보다는 정신이 중요하다) 백1은 상수들이 즐겨쓰는 일종의 유혹작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응수하는 방법을 한 가지 모양으로써 알아 두는 것 보다는 그 전에 올바른 마음 가짐을 가져야 한다. 생각을 깊이 하고 있으면 그 방법으로도 수순이 정연하여 응용할 수 있을 ..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4
테스트1 문제도(흑선) 접바둑에서 백이 만약 X로 걸쳐 왔을 경우 흑은 어떻게 응수해야 할까? 접바둑의 포석에서는 약간의 의문수는 치명상이 되지 않지만 계속 이러한 것들이 쌓이게되면 어느 정도 되어서는 바둑이 망해버렸다는 염려를 하게 된다. 1도 일반적으로 화점에서 응수하는 방법은 흑1.. 사활공부/急所테스트100 2014.12.14
2일 문제도 (백선) 조용히 포석이 진행 중인데, 다음에 백은 어디 두어야 최선일까? 공격을 겸해 지키는 수도 때론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해도 (가만히 는다) 우하귀에서 가만히 느는 수가 정해. 이에 흑2로 지키는 정도. 여기서 흑이 손을 빼면, 백 A로 뛰어서 공격한다. 정해 참고도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4
1일 문제도(백선) 현재 우하귀에서 정석이 진행 중이다. 백은 여기서 어떻게 두는 것이 최선일까? 우하귀와 하변의 돌의 배치를 잘 생각해보자. 정해도 (양수 겸장) 정석이라고 해서 막연히 두면 안된다. 여기서는 우상귀의 흑▲이 걸쳐있는 데 주목하고 백1로 꼬부리는 것이 최선이다. 흑2에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3
나의 바둑판 보물 1호 나무의 재질은 기억나지 않는다. 아마 소나무 일지도... 투박하고 거칠어 보이지만 그 당시 나의 큰누나가 수집하던 원목 가운데 하나로 만든 것이다. 다행이 뒷집에 살던 아저씨가 목수였기에 다리를 만들어 끼워 주셨다. 바둑판 아래부분 '74年'이란 음각이 보인다. 내가 중학교 때 직접 .. 이런저런 2014.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