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문제도(흑선) 한 부분을 보는 순간 아~ 이곳이다라는 느낌을 받아야 한다. 참으로 승패의 갈림길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이 있다. 정햬도(멋진 씌움수) 우하귀에서 흑1로 일자씌움하는 수가 멋진수. 백은 괴롭지만 2로 지켜야 하고 흑3으로 뛰면서 흑 상승세다. 흑1로 A에 느는 수나 B로 한..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22
9일 문제도(백선) 좌하변의 백 석점이 매우 엷은 모양이다. 백을 어떻게 실속있게 지키느냐가 이 문제의 테마이다. 정해도(붙이는 수) 첫수가 백1의 붙이는 수. 흑2로 젖히고 백3으로 맞끊으면 하변의 흑도 약점이 생긴다. 백11까지로 사는 것이 잘 두는 것이다. 도중에 흑4나 6으로 7에 몰면서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21
8일 문제도(흑선) 여러군데 큰 곳이 보이긴 하지만, 이 국면에서는 큰 곳보다도 급한 곳이라는데 촛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정해도(선제 공격) 이 국면에서의 급한 곳은, 하변 흑▲ 한점이 공격 당하기 전에 흑1로 백의 진로를 막아서면서 백■ 석점을 공격하는 것이 정해다. 백2로 움직이면서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20
7일 문제도(흑선) 수비와 공격, 어느 쪽을 중시해야 좋을지 중대한 분기점에 와 있다. 우상귀와 변의 흑세는 아직 완전한 자기 집이 아니다. 그 까닭은..... 정해도(커다란 실리) 우상귀 흑1의 지킴이 최대. 이 한수로 우상귀 일대가 굉장히 커졌다. 같은 지킴이라도 흑A나 B로는 백C의 3.三 침입..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9
6일 문제도(흑선) 상변에 백X로 침공해 왔다. 흑은 어떻게 응수해야 할까. 백X를 잡을 수 있다면 좋겠지만..... 정해도(리듬에 따라 둔다) 침공해 온 백X를 직접 잡으러 간다고 해도 잘 안된다. 흑1로 씌워서 응수를 기다리는 것이 정수. 백2로 모행마하면 다음에 흑3으로 공격하는 것이 리듬. 백4..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8
5일 문제도 (백선) 상변, 좌변, 하변에 너무 갈 곳이 많다. 그러나 그 가운데서도 특히 급하게 갈 곳은 어딜까? 정해도 (공방의 요처) 이 국면에서는 좌변의 백돌이 불안하다. 따라서 백1의 모행마가 다른 곳보다 우선 순위가 된다. 더우기 이 백1은 단순히 좌변을 지키는 것만이 아니라 상대의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7
4일 문제도(백선) 서로가 세력을 구축하는 바둑이 되어 있다. 이런 때는 어딘가에 피차 선점해야 할 곳이 있는 법이다. 정해도(쟁탈의 요처) 서로 큰 세력을 구축할 때는 자기 세력을 넓히면서 상대의 세력을 삭감하는 것이 좋다. 이 국면에서는 백1로 뛰는 수가 정해. 흑2로 변을 지키면 백3으..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6
3일 문제도 (흑선) 좌변의 백 세력이 굉장히 신경 쓰이는 국면이다. 흑은 이 세력을 어떻게 삭감해야 할까? 감각을 테스트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정해도(갈라 놓는다) 백(X) 한점이 좌하와 연결되면 백 세력은 튼튼해진다. 흑1로 어깨를 짚어(밭전자 행마)가야 한다. 백2로 찌르고 나오면 흑3, 5..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5
2일 문제도 (백선) 조용히 포석이 진행 중인데, 다음에 백은 어디 두어야 최선일까? 공격을 겸해 지키는 수도 때론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정해도 (가만히 는다) 우하귀에서 가만히 느는 수가 정해. 이에 흑2로 지키는 정도. 여기서 흑이 손을 빼면, 백 A로 뛰어서 공격한다. 정해 참고도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4
1일 문제도(백선) 현재 우하귀에서 정석이 진행 중이다. 백은 여기서 어떻게 두는 것이 최선일까? 우하귀와 하변의 돌의 배치를 잘 생각해보자. 정해도 (양수 겸장) 정석이라고 해서 막연히 두면 안된다. 여기서는 우상귀의 흑▲이 걸쳐있는 데 주목하고 백1로 꼬부리는 것이 최선이다. 흑2에 .. 사활공부/100日100題 2014.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