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대사전 제11형 수근대사전 제11형 문제도(흑선) 화점 정석에서 파형된 모양이다. 흑의 다음 수는? 정해도 흑1로 끊는 한 수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1의 끊음에 백2는 당연하며 흑3일 때 백은 A or B이다. 정해도 계속 백1로 따내면 흑2로 . 물론 백A로 따내어 흑은 이다. 변화도 백1 늘면 흑2로 역시 . 전도보다는 백이 불리한 이다.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25
수근대사전 제10형 수근대사전 제10형 문제도(흑선) 우상귀의 백은 흑 한점을 잡으려고 하지만 모양이 불완전하다. 이후 흑은 어떤 공격을 해야할까. 정해도 흑1이 준엄한 한수이다. 정해도 계속 백2로 따내면 3으로 빠진다. 물론 귀의 백은 잡힌다. 변화도 백2로 반발하여 나오면 흑3으로 단수한 후 5까지의 수..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24
수근대사전 제9형 수근대사전 제9형 문제도(흑선) 단수된 탓에 흑A로 느는 순간 백B로 끊겨 흑이 곤란해 진다. 강력한 공격 수단은 없을까. 정해도 흑1이 속수지만 최강의 공격 수단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1에 백은 2로 따낼 수밖에 없으며 계속해서 3으로 단수 몰고 흑5로 뻗는다. 바둑 격언 <단..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23
수근대사전 제8형 수근대사전 제8형 문제도(백선) 백은 과연 흑을 잡을 수 있는가. 정해도 흑을 잡는 수단은 오로지 백1 뿐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2로 따내면 백3으로 되단수. 흑4로 끊어 <패>가 된다. 변화도 백1에 흑2로 반발하면 백3, 5로 흑의 무리.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20
수근대사전 제7형 수근대사전 제7형 문제도(흑선) 흑▲은 3수, 백◎은 2수지만 축이 유리하다. 과연 우변의 결말은? 정해도 흑1로 단수쳐 백을 추급하고 3으로 장문을 씌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4로 나오지만 5 이하 9까지 환격으로 몰아 잡는다. 변화도 흑3으로 장문 씌울 때 백4로 단수치며 반발하..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17
수근대사전 제6형 수근대사전 제6형 문제도(백선) 우상귀 백 한점을 이용한 흑의 약점찌르기. 정해도 백1로 단수쳐 흑2로 잇게하고 백3으로 끼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4로 받아주면 5로 먹여치고 이하 11까지 백의 성공이다. 수순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변화도 백3 때 흑4로 늘면 백5로 단수친다.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16
수근대사전 제5형 수근대사전 제5형 문제도(흑선) 수근사전(手筋辭典) 3번 문제와 동일. 귀의 흑 한점과 상변 중앙 화점 흑돌을 활용한 흑의 수습. 정해도 첫수는 당연히 흑1의 단수.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로 이을 때 흑3, 5로 백4, 6을 교환한 다음 흑7로 먹여치고 8까지 진행한 후..... 정해도 계속 흑9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15
수근대사전 제4형 수근대사전 제4형 문제도(흑선) 화점 날일자 걸침에 흑이 위로 붙여뻗어 생긴 정석이다. 백△이 끊어 온 장면인데, 보통은 백의 끝내기로 큰 곳이지만 지금의 모양은 어떤 결과를 초래할까. 정해도 흑1의 단수와 백2의 뻗음은 당연하다. 이후 흑은 A냐 B냐인데..... 정해도 계속 흑3으로 막는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13
수근대사전 제3형 수근대사전 제3형 문제도(흑선) 상변 흑 두점은 아직 활력이 남아있다. 중앙 쪽 흑의 두터움을 이용한 흑의 공격 방법은? 정해도 바깥쪽 흑이 두터워 흑1의 단수가 힘을 얻는다. 정해도 계속 백2의 이음은 당연하며 3으로 젖힌다. 백4로 나올 때 흑5로 힘차게 2단 젖힘한다. 정해도 계속 백6으..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11
수근대사전 제2형 수근대사전 제2형 문제도(흑선) 상변 싸움에서 백의 저항이 있겠지만 어떻게 수습해야 할까. 정해도 흑1의 단수가 문제 해결의 첫 단추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에 흑3으로 한번 더 힘차게 민다. 백4로 막으면 5로 끊고 이하 11까지 백이 한수 부족이다. 변화도 흑▲으로 밀 때 백A로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