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근대사전 제21형 수근대사전 제21형 문제도(흑선) 우변의 흑을 움직여 사는 문제. 정해도 흑1, 3으로 백 두점을 공격한다. 2, 4로 저항하면 흑5에서 11까지 환격이다. 백8로 9에 나가면 흑8이다. 변화도 흑1에 백2는 3으로 그만이다.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7.20
수근대사전 제20형 수근대사전 제20형 문제도(흑선) 귀에서 변에 이르는 백진이 불완전한 상태이다. 흑은 어느 정도로 백진에 피해를 줄 수 있을까. 정해도 흑1로 끼우면서 단수치는 수가 좋은 수.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로 한점을 따내면 흑3으로 되단수, 백4로 이으면 흑5로 귀의 흑이 살면서 백의 대..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7.16
수근대사전 제19형 수근대사전 제19형 문제도(흑선) 바둑돌은 갇혀 있다고 죽은 것이 아니다. 반상에서 들어낼 때까지 그 돌들은 살아있는 것이다. 상변에 잡혀있는 흑돌들을 활용해 보자. 정해도 먼저 흑1로 신호탄을 쏴 올린다. 숨어있는 유격대원들이 움직일 시간이 왔다. 정해도 계속 백2로 잇는 순간 3에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7.15
수근대사전 제18형 수근대사전 제18형 문제도(흑선) 끊어 온 백△ 한점을 잘 이용하여 이득을 보자. 정해도 흑1로 단수치고 2로 뻗으면 3으로 같이 내려선다. 백4는 당연하며..... 정해도 계속 흑5의 코붙임이 통렬하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이하 13까지 빈축으로 잡힌다. 변화도 흑3 때 백4, 흑5 교환 후 6으..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7.13
수근대사전 제17형 수근대사전 제17형 문제도(흑선) 상변에 끊겨 있는 흑 3점을 살리기 위해 끊고 있는 백 2점을 추급해서 잡는 문제다. 간단해 보이지만 만만치 않다. 정해도 누가 봐도 흑1의 첫수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 다음이 문제지만..... 정해도 계속 백2로 나갈 때 흑3의 장문이 기다린다. 그 다음은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7.10
수근대사전 제16형 수근대사전 제16형 문제도(흑선) 작은 눈사태형 정석에서 나온 모양이다. 백의 <축>관계 유무에 따른 변화는? 정해도(백의 축이 불리할 경우) 흑1, 3, 5로 백이 안된다. 참고도(백의 축이 유리할 경우) 흑은 상변 두점을 버리면서 11까지 외곽을 봉쇄하여 백의 실리와 흑의 두텀움으로 적..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7.06
수근대사전 제15형 수근대사전 제15형 문제도(흑선) 흑을 끊고 있는 백△ 두점은 요석이다. 이 두점을 잡게되면 우상의 흑이 상당히 두터워진다. 정해도 흑1로 몰면 백2로 나가고 이때 흑3의 장문이 좋은 수. 백의 선택지는 A or B. 정해도 계속 4로 움직이면 흑7까지 흑승. 정해도 변화 백4로 먼저 따내면 흑5로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7.04
수근대사전 제14형 수근대사전 제14형 문제도(흑선) 흑4점을 살리기 위해 중앙 백을 공격하는 최선의 수는? 정해도 흑1의 단수가 준엄한 맥점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로 한점을 따내면 3으로 되단수 쳐서 그만이다. 흑1로 2는 백B 흑C도 유력. 변화도 흑1 때 백2로 나가면? 변화도 계속 그러면 3으로 이..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29
수근대사전 제13형 수근대사전 제13형 문제도(흑선) 잡혀있는 흑 한점을 이용한 끝내기. 정해도 흑1의 단수가 형태의 급소. 정해도 계속 흑1 때 백2로 흑 한점을 따내면 3으로 밀고 들어가고 4로 이을 때 5로 넘어간다. 백2로 4면 흑2로 백의 무리. 실패도 흑1의 공격은 백2로 막아 실패다. 백6으로 눈을 줬을 뿐아..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27
수근대사전 제12형 수근대사전 제12형 문제도(흑선) 백진 속에 갇힌 흑 두점이 백의 약점을 건드려 움직이는 맛이 남아있다. 정해도 흑1이 맥점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로 나가는 수밖에 없으며 이때 흑3으로 잇고, 백4로 저항을 하면 5로 한번 더 단수하고 6을 기다려 흑7로 잇는다. 백8로 귀의 수를 .. 맥(手筋)공부/手筋大事典 2015.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