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4 문제도(흑선) 이 문제는 그다지 어렵지 않다. 흑A로 한 점을 잡는 것은 백B로 산다. 정해도 흑1이 급소.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흑선 패) 백2면 흑3으로 가 된다. 만약에..... 참고도(흑선백사) 백2로 잇는다면 흑3으로 백은 양자충에 걸려 망한다. 橋本宇太郞/中仙道 2020.09.05
문제4 문제도(흑선) 올바른 수순으로 백의 을 빼앗아 보자. 정해도 흑1에 백2는 당연하다. 문제는 그 다음 수, 한번 더 생각해 보자. 정해도 계속(흑선백사) 흑3, 앗~! 橋本宇太郞/奧の細道 2020.09.05
문제3 문제도(흑선) 백도 유력한 저항 수단이 있으니 주의하자. 정해도(흑선활) 흑1의 젖힘이 멋진 맥. 백2, 흑3의 단수로 산다. 만일 흑1로 3에 먼저 단수하면 살 수 있을 것 같지만..... 실패도 흑1에 단수하고 3으로 따내면..... 실패도 계속 백4로 되따내고 6까지 옥집이 되어 흑의 전멸이다. 橋本宇太郞/中仙道 2020.08.28
문제3 문제도(백선) 이 문제는 에서 발췌한 것이다. 백3의 수가 묘착이다. 정해도(백선흑사) 백1 급소를 찌르고, 다음 3으로 스스로 메우면 흑은 안형이 없다. 결과는 각자 확인해 보자.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0.08.28
문제2 문제도(흑선) 흑A로 나가 백B로 막게하는 그런 안이한 생각으로는 안된다. 멋진 수단으로 살아보자. 정해도(흑선활) 흑1의 에 의해 살게 된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로 이으면 흑3, 백4, 흑5로 산다. 변화도 의 백2로 그림처럼 응수하면 흑3, 백4, 흑5로 역시 살게 된다. 橋本宇太郞/中仙道 2020.08.24
문제2 문제도(흑선) 이 흑을 살려 보자. 정해도(흑선활) 흑1로 뛰고 3으로 호구치는 것이 능숙한 수.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다음에 4와 5를 맞본다. 橋本宇太郞/奧の細道 2020.08.24
문제2 문제도(흑선) 흑A는 백B로, 흑C는 백D로 산다. 이 백을 잡는 수는? 정해도(흑선백사) 결국 흑1로 밀고 들어가는 수밖에 없는데, 백2의 모행마가 대단히 능수능란한 수. 여기서 흑이 대충 두다가는 백을 살려준다. 흑1 때 백2로 바로 막는 수는 흑B로 안된다. 정해도 계속 흑3으로 먹여치는 한방에 백은 넘지 못하고 잡힌다.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0.08.24
문제1 문제도(흑선) 흑을 포위하고 있는 백도 약한 맛이 있다. 사석을 이용해서 를 만들면 성공이다. 정해도(흑선패) 흑1로 끊는 것이 좋은 수.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7까지의 수순에 따라 가 된다. 橋本宇太郞/中仙道 2020.08.19
문제1 문제도(흑선) 흑선 결과 여하는? 정해도(흑선활) 흑1, 3이 백을 공배 메움으로 이끄는 수단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4면 흑5로 먹여쳐 촉촉수에 걸린다. 변화도 흑1에 백2에서 몰면 흑3으로 끊어 동일한 결과다. 橋本宇太郞/奧の細道 2020.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