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11 문제도(백선) 평범하게 백A는 흑B, 백B면 흑A로 산다. 정해도(백선패) 백1로 먹여쳐 사석을 활용하는 것이 묘수며, 흑2로 따낼 수밖에 없을 때 백3에 치중하고 5까지 가 된다. 정해 진행도(백선패)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2.10.04
문제10 문제도(흑선) 흑B에 젖히는 것은 백C, 흑A, 백D로 흑이 잡힌다. 수를 잘 두어 를 만들어 보자. 조금 어려운 편이다. 정해도(뜀) 흑1로 뛰는 수가 맥.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백2로 넘어가면 6까지.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7로 끊고 9로 되단수 치는 것이 좋은 수로 백12까지 가 되는 것이 정해. 실패도 흑1로 젖히는 수는 백2로 막아서 흑의 실패. 진행도(흑선패) 橋本宇太郞/中仙道 2022.08.19
문제10 문제도(흑선) 이 백에 대해 흑은 어떤 수단의 여지가 있을까? 정해도 백4로 5에 둘 수는 없다. 흑1을 사석으로 를 만들 수 있다. 橋本宇太郞/奧の細道 2022.08.17
문제9 문제도 흑A의 절단은 백B의 묘수가 있어 좋지 않다. 어디를 둬야 백을 잡을 수 있을까? 쉬운 문제다. 정해도(흑선백사) 흑1의 치중이 급소. 이하 5까지 백이 잡힌다. 흑1의 수단 외에는 백을 잡을 수 없다. 橋本宇太郞/中仙道 2022.08.08
문제10 문제도(백선) 제1감은 백A이지만, 이것은 흑B, 백C일 때 흑D의 묘수로 백이 잡힌다. 모두 잡혀서는 안된다. 정해도(백선활) 백1이 묘수, 이 일착으로 인해 백이 산다. 그러나 두점의 희생은 부득이하다.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2.08.08
문제9 문제도(백선) 백이 큰 희생을 치르지 않고 살 수 있다. 백A의 붙임은 흑B로 나와 가 된다. 가 되면 안 된다. 정해도(백선활) 백1이 급소. 흑이 어떻게 공격하더라도 白活임을 확인할 수 있다.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1.05.26
문제8 문제도(흑선) 흑A로 두는 것은 백B와 교환하여 백이 무조건 살아간다. 호수순으로 를 만들어보자. 정해도(흑선패) 흑1로 반발하는 것이 맥점이다. 백2 때 흑3 이하 흑9까지 가 난다. 흑1, 3이 묘수. 橋本宇太郞/中仙道 2020.12.31
문제8 문제도(흑선) 흑 8점이 집은 없지만, 아래쪽 백의 공배 메움을 적절히 이용한다면 승산은 있다. 정해도(흑선백사) 흑1에 백2면 흑3, 5로 백은 양자충에 걸린다. 변화도 흑1 때 백2로 버티면 역시 흑3으로 끼운다. 백4에는 흑5로 그만이다. 橋本宇太郞/奧の細道 2020.12.25
문제8 문제도(백선) 묘수에 부합하는 묘수로 흑 전체의 생사를 좌우하는 문제. 정해도(백선흑사) 백은 1, 3으로 건너가는 것이 첫번째 열쇠. 계속해서..... 정해도 계속 흑은 4, 6으로 필사적으로 안형을 만들려고 하지만 백5 다음 7로 안형을 뺏어 잡는다. 참고도 흑6 때 백7로 따내는 것은 흑8로 가 되거나, 가 싫어 백6에 이어 5궁도를 만들어 잡으러 가는 것은 흑A로 다섯 점을 따내는 것이 선수여서 흑을 잡지 못한다. 橋本宇太郞/五十三次 2020.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