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제1형
제1형(흑선)
제2기 명인 도전시합 제3국 후지사와 히데유키 명인(당시)과의 대국에서, 사카다 흑번.
백1로 턱 밑에 들어온 것을 흑2로 누르고 백3, 5의 건너가는 것을 허용한 다음 흑6으로 마늘모했다. 흑6으로 A에 몰아도 백이 반드시 어어준다고 할 수 없으며, 거꾸로 백6으로 두어 올는지 모르겠다.
흑6으로 백의 근거를 위협한데 대해 백7로 뛰어나간 장면. 다음에 흑은.....
제1도 참고도1
흑1은 백의 행로를 막고 전체를 크게 공격하고자 한 준엄한 착점이다. 흑1을 2의 곳에 협공하면 백A로 다가서는 점이 호처. 또 흑1로 <참고도1> 흑1의 일자는 백A와 B로 나오는 수가 언제나 선수로 활용되므로 백이 강화되어 효과적인 공격을 못한다.
참고도2 참고도3 참고도4
<제1도> 흑1에 백2로 다가선 것은 당연하면서도 好手였다. 백2로서 <참고도2> 백1로 지키는 A의 협착이 안성맞춤이 되어 백은 대세에 뒤떨어진다. 또 <참고도2> 백1을 B에 마늘모하는 것은 흑C로 눌려 신통치 않으며 백1을 D에 붙이는 것도 흑E로 늘게 되어 맛이 나쁜 형태이다.
그리고 <제1도> 백2로 B의 낮은 두칸으로는 흑C의 모걸이하는 수가 있어서 상변 백의 수습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흑3은 과수. 이렇게까지 강경하게 견딜 필요가 없었다. 단지 흑3을 손빼면 <참고도3> 백1 이하 5로 나오게 되어 중앙의 흑 두점이 약해진다.
흑3으로는 <참고도4> 흑1로 마늘모로 붙이는 것이 최선이었다. 이하 백6의 호구 이음이면 흑7로 꼬부리는 타이밍이 좋아 11까지 되어서는 흑이 충분하며 확실히 리드하고 있다. 이 수순중 백6을 아래 <참고도5> 백1로 누르는 것은 의문이며 흑2, 백3 다음 흑4로 끊겨 곤란하다. 백5로 몰고 흑6, 백7로 잇는 순서가 되지만 흑8, 10으로 밀고 나가게 되어 상변 백이 위태롭게 된다.
<제1도> 백4로 마늘모로 나오게 되어 급전의 양상이다.
참고도5
제2도
참고도6 참고도7 참고도8
<제2도> 흑1, 3의 붙여 끄는 수는 여기서 전기를 찾자는 뜻. A로 양쪽을 들여다 보는 수가 노림이다. 백도 적절한 방비책이 없으며, 백B로 들이대는 것은 흑5 또는 4로 뛰게 되어 백의 형태가 무거워진다.
흑5에는 뒤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오산이 있었다. 흑5로서는 <참고도6> 흑1로 들여다 볼 곳이었다. 백2의 이음이면 이하 흑11로 뛰게 되어 상변 백이 견디지 못한다. 그래서 <참고도6> 백2로는 <참고도7> 백1에 잇고 이하 흑12까지 정도가 예상되지만 이것이라면 흑집이 많으므로 충분히 둘만 했다.
<참고도7> 백1로는 <참고도8> 백1도 있었으며 이하 흑4로 누르는 결과가 된다. 이 뒤 백A의 건너붙이는 수가 기분 나쁘기는 하지만 흑B로 자중하면 별것 없다.
제3도 참고도9
<제3도> 흑1, 3 다음 흑5로는 <참고도9> 흑1로 나가는 것으로 오산했다. 그러나 금방 백2 이하 10까지 조임을 당해서는 볼 모양없이 나쁘다고 깨달아 <제3도> 흑5로 작전을 바꿨다. 그리고 흑5를 A로 마늘모하는 것은 백B로 외수를 메우면 꼼짝 못하고 잡힌다. 백6 다음.....
제4도
참고도10 참고도11
<제4도> 흑A로 쌍립하기에 앞서 흑1로 들여다보아 백의 응수를 타진했다. 백2로는 <참고도10> 백1로 꼬부리는 것도 있다. 흑2를 3에 누르는 것은 백2로 잇게 되어 신통치 않으므로 흑2로 차단하고 백3으로 나가는 순서가 된다. 이하 백은 7까지 우변을 지역화하고 흑은 8로 눌러 가운데 백을 포획하는 바꿔치기가 예상되지만 이것은 흑 유리의 결과라 하겠다.
<제4도> 흑3은 두지않아도 좋았다. 벡6으로 잇고 흑7로 차단한 것은 당연하다.
백8로는 9로 끊어 싸워야만 했다. 즉 <참고도11> 백1로 끊어 흑2, 백3 이하 9까지 이 백이 안정하면 흑A를 서둘러야 한다. 이어서 백B로 뛰어 붙여 백이 유망한 형국이다.
참고도12 참고도13
<참고도11>에서 흑A를 서둘러야 한다는 이유는 흑A를 생략하면 <참고도12> 백1로 뛰어 이하 흑8까지 도생할 때 백9의 건너붙임에서 11까지 되어 요석인 흑 두 점이 맥없이 떨어져서 중앙의 백대마가 자동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이다.
<제4도> 흑9로는 튼튼하게 이어두면 상변 중앙의 흑 석 점은 이대로도 맛좋게 살고 있다. 가령......
<참고도13> 백1로 뛰어 잡으러와도 흑2 이하 12, 14까지 선수로 몰고 흑18로 도생한다. <참고도12>와는 큰 차이이다.
<제4도> 흑9로 잇게 되어 위기를 벗어났다. 백8, 10으로 이곳을 돌파당한 정도로는 대단치 않다.
제5도 참고도14
<제5도> 흑1은 백의 응수를 타진한 것. 백2를 A면 흑3, 백2, 흑B로 백을 공격한다. 그런데 흑3이 패착에 가까운 큰 실수였다. 흑3으로는 <참고도14> 흑1부터 3으로 호구치는 수 뿐이었다. 백은 역시 4로 수비할 정도이다.
<제5도>는 백C, 흑D, 백E가 선수여서 흑F, 백G, 흑H로 도생을 꾀할 밖에 없으며 (실제 그렇게 두었음), <참고도14>의 상변을 건너간 형태와는 대단한 차가 있다.
<제5도> 흑9는 I(영문 아이)의 한칸 뜀이 컸다. 이것이라면 아직 싸워 볼만 했다.
백10으로 뛰어 붙이게 되어서는 백 유망의 국면이 되었다.
이 바둑은 초기에 지나치게 강경한 수를 두어, 사카다의 나쁜 면을 나타낸 일국이었다.
실전 진행도(1~180 이하 략)
1963.8.23~24 사카다 흑번
'사카다의 바둑 > 전략의 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 제3형 (0) | 2019.05.08 |
---|---|
제2장 제2형 (0) | 2019.04.10 |
제2장 중반의 전투 (0) | 2018.12.11 |
전략의 묘 제11형 (0) | 2018.08.24 |
전략의 묘 제10형 (0) | 2018.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