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형
제5형
백1로 뻗는 것은 사석작전이다. 백A로 두면 살 수 있는 것을 그렇게 하지 않고 감히 돌을 희생시키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즉, 手數가 많은 것을 이용하여 기회를 엿보는 셈인데 이것으로 흑에게는 상상외의 새로운 것이 전개된다. 그야말로 천변만화. 그러나 정통한 수는 있다. 어떤 맥으로 대응할 것인가.
제1도
흑1이 그 수. 백2에는 흑3.
제2도
백4로 들여다보면 흑5로 대응한다. 이것은 맞공격의 원칙수단이다. 백6에는 흑7로 밀어 마디(약점)를 하나 만들어 놓고 흑9로 나간다. 이때는 백에게 아직 네 수의 여유가 있으므로 흑▲ 두 점이 잡히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국면을 진행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제3도
물론 단순히 흑1로 뛰어도 이 맞공격에서 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렇게 두면 백A의 끼움을 노리는 기회와 백B로 들여다보는 여지를 남겨 불안하다. 이런 과정을 밟으면 언젠가는 반드시 함정에 빠지게 된다.
제4도
흑1에서 3으로 두는 것은 위험하다. 백2로 이으면 그 노림수인 백4의 끼움이 성립된다. 흑이 빠지기 쉬운 함정이다. 백4에는.....
제5도
흑5로 바깥쪽에서 대처하는 수밖에 없다. 백6으로 단수하면 흑7로 잇는 것은 부득이하다. 백은 8로 다시 단수한다. 그 뒤의 결과는 외길이다.
백△의 기능이 100% 발휘되는 단계에 이른다.
제6도
백10의 단수부터 12의 누르기까지 백△은 실로 좋은 지점에 대기하고 있는 셈이다. 흑13으로 내려서면 백14의 맥으로 그뿐이며, 흑이 보기좋게 백의 함정에 빠진 꼴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