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의 묘 제5형
제5형
제1기 명인전 후지사와 슈코 명인(당시 8단)과의 대국인데, 사카다 백번.
좌하귀 흑1로 뛰어 백2로 두었을 때 상변에서 흑3으로 벌렸다.
이제 백은 좌하의 흑에 대한 공격을 노려야 하겠는데, 단순히 A로 다가가는 것은 별로 재미가 없다. 우선 흑의 모양을 무겁게 만들어야 하겠는데.....
제1도 참고도1
참고도2 침고도3 참고도4
<제1도> 백1, 3 선수로 들여다보아 이 흑을 무겁게 만들어서 공격하는 것이 적절한 수단이라고 생각했다. 백1로서 곧장 <참고도1> 백1로 다가가는 것은 흑2로 뛰게 되므로, 이번에는 백3으로 들여다보아도 흑4, 6으로 끊어지니 잘 되지 않는다. 이렇게 공격해서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다.
흑4로서 <참고도2> 흑1로 이으면 백의 계략에 말려드는 형편으로, 백2에 대해서 흑3이면 백4로써 크게 공격을 벌리게 된다.
그러므로 백의 의도를 눈치차린 흑은 <제1도> 흑4로 반격해 나왔다.
백5를 <참고도3> 백1로 끌면 흑2로 이어 백이 당한 꼴이 되어 재미가 없다. 거기에다 흑A로 밀고 흑B로 뛰어 붙이는 수가 선수가 된다.
따라서 <제1도> 백5로 민 것은 기세이다. 백5에 대해서 <참고도4> 흑1로 뻗으면 이번에는 백2로 나가 4로 늘어 흑이 양단되어 좋지 않다.
그리고 흑이 6으로 젖힌 것은 <참고도4> 백2, 4의 수단을 방지한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양쪽이 모두 올바른 수순을 다하고 있다. <제1도>에 이어서.....
제2도
참고도5
<제2도> 백1 이하 7을 마늘모로 두게 되니 좌변이 부풀어 이상적인 모양이 되었다. 좌하의 흑을 공격하여 몰고간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2도> 백3으로는 <참고도5> 백1과 같이 이단으로 젖히는 것도 강력한 수였다. 이하, 흑6까지 되었을 때 백7로 호구를 쳐서 하변을 지키게 되니 이 역시 활동성이 있는 전략이었다.
실전 진행도(1~100)
1962년 2월 21일, 22일 사카다 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