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의 묘 제2형
제2형
제2기 최고위전의 도전 시합. 기타니9단에 대한 사카다의 백번의 일국이다.
무엇보다 흑의 실리, 백의 세력이라는 포석의 특수성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백으로서는 소극적으로 견실하게 두어서는 재미가 없다.
참고도1
상식적인 큰 곳이라면 상변 백1의 수비 등이 눈에 뛴다. 이렇게 두어서는 흑2 정도로 흑세를 구축하게 되어 포석에 일관성을 잃게 된다. 그래서.....
제1도
백1의 모자. 여기서 싸움을 유도해 나간다.
제2도 참고도2
흑1의 일자 수비는 당연. 이것을 이것을 예상하여 백2는 노타임으로 두었다. 흑3, 5로 저항해 와서 일견 백은 분열상태인듯 하나, 이렇게 폭 넓은 바둑에서는 오히려 팔방이 뚫린 큰 보재기로 싸는 식으로 두는 것이 좋다. 한쪽이 뚫려도 한쪽은 수습되어 나가는 그런 결과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백6으로 끊어서 전투개시. 전투상태가 되면 백은 환영할 처지이다.
<참고도2>
<제2도> 흑1로는 이와같이 1에 한칸 받아서는 안된다. 백2의 두칸 뜀 또는 A에 씌우는 수가 더욱 중앙 백세를 두텁게 만들기 때문이다.
제3도
참고도3 참고도4
<제3도> 흑1, 3으로 아래쪽 백 한점을 포획한 것은 기타니9단 특유의 실리전법이었지만 지나치게 收獲에 급급한 감이 없지 않았는지? 백은 희망대로 돌이 중앙으로 향해서 정비되어 폭 넓은 바둑이 된 감이 짙어졌다.
흑1, 3의 의문수에 앞서 <참고도3> A로 젖혀 나가는 수를 두지 않고 단순히 끊어도 <제3도>와 비슷한 결과가 된다. 흑3 때 백4로 지키지만 이것 역시 백의 두터운 자세이다.
<참고도4>
<제3도>의 흑1, 3으로는 <본도>와 같이 위쪽에서 몰아오는 것이 두려웠다. 백2 때 흑3으로 참고 흑7까지 되어 싸워 볼만하다고 생각했다.
제4도
참고도5 참고도6
<제4도> 이어서 백1로 빳빳하게 뻗는 수에 주의를 요한다. 흑▲의 활동을 봉쇄하는 것도 목적의 하나이지만 그것보다 전체의 백의 형태에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다. 흑▲을 잡는 뜻이라면 <참고도5>의 장문이 더 명확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 백1은 흑A의 건너붙이는 점이 기분 나쁘다. 직접적으로 A에 두지않고 가령 흑2로 마늘모해서 A의 곳을 노리기만 해도 백에게는 적절한 수가 없다. 이 외에 <참고도6>의 백1로 모는 것도 역시 A의 건너 붙이는 수가 남는다. 거기에다 몰린 흑 한점의 <축>머리를 이용당할 염려마저 있다.
제5도
흑1은 다음에 A에 끼우는 수를 맞본 것이며 백2의 반발은 당연하다. 그래서 여기서부터 싸움이지만 백세가 두터운 곳이므로 흑이 고전할 양상이다.
제6도
이후 백10 이하 진행은 상세 설명은 생락하고 만일 내가 흑이라면 <제5도>>의 흑3으로는.....
참고도7
흑1, 백2는 하나의 가벼운 선수 활용이 되어 손해는 없다. 여기서 흑은 3으로 날일자 정도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백4의 고압수단이 예상되지만 흑5로 상변에서 중앙으로 백세를 삭감하는 점을 노려 여기서 승부로 나간다. 이에 대하여 백6 정도의 수는 무섭지 않다. 전국적으로 실리면에서도 뒤지지 않으므로 흑7, 9 정도로 가볍게 형태를 정비한다. 이 구도가 온당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5의 수로.....
참고도8
흑1은 재미없다. 즉시 백2로 모자를 씌워서 여전히 중앙의 백세가 빛나게 된다.
실전 진행도(1~100)
1957.1.31~2.1 일본 기원 사카다 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