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정석공부/정석 전략집

高川格이 시험한 변화

kimdong 2016. 8. 14. 22:31
728x90

高川格이 시험한 변화


문제도

  흑의 이 구축은 高川秀格 명예 本因坊이 변화시켜서 둔 흥미있는 運石이다.

  이것에 대해 백은 어떻게 응수하면 좋은가, 하는 것이 여기서의 문제이다. 물론 백이 손을 빼어서 흑이 A로 이어버리면 흑의 이상형이 되고 만다. 흑이 잇기 전에 백이 두어야만 할 것인데 어디를 착수하면 좋을까?


[힌트] 그것은 간단하다. 백A로 끊는 한 수라고 생각해서는 낙제점이다. 너무 간단해서 흑에게 아무런 위협도 되지 않는다.

  한발이라도 흑진 속에 들어가고 싶은 것이다. 어떻게 두어야 할까?






1도(정해)

  백1로 붙이고 흑2에는 백3으로 내리는 것이 정해이다. 이 다음 A로 꼬부리는 것도 유력하며 그것을 방지해서 흑이 A에 둔다면 백은 손을 빼어도 좋기 때문이다.



2도(평범한 수)

  백1로 단수해서 따내는 것은 <1도>와 비교하면 아주 활동력이 없는 모습이다.

  흑과 백의 수수(手數)가 같은 수라고는 생각하지 못할 정도로 흑쪽이 탄력적이다.



3도(함정)

  백1로 급소에 치중하는 것이 정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적지 않으리라고 여겨지지만, 이것은 함정에 빠진 것으로 흑2로 이어 석점으로 키운 다음 <사석>으로 백을 압박함과 동시에 선수를 잡고 큰곳으로 전환한다. 이렇게 되면 백은 참을 수 없다.



4도(흑, 무리)

  백1의 붙임에 흑2로 아래쪽에서 받는 것은 백3으로 뻗어나오면 흑이 무리인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정석공부 > 정석 전략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옛 바둑에서  (0) 2016.08.28
반대쪽에서 단수하는 방법  (0) 2016.08.23
붙임수를 유인하는 흑 한칸  (0) 2016.08.01
의표를 찔러서 끊다  (0) 2016.07.20
걸쳐온 한점  (0) 2016.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