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배한잔과 안주반집

기초공부/바둑격언·명언

추격은 날일자, 도망은 한칸뜀

kimdong 2016. 1. 11. 11:55
728x90

추격은 날일자, 도망은 한칸뜀

 

  날일자 자체는 엷은 형태이지만 약한 돌을 공격하는 경우에는 상대가 그 엷음을 응징할 여유가 없기 때문에 <날일자, 날일자로 위에서 덮칠 것 같은 추격이 마늘모나 한칸뜀보다  효율적인 케이스가 많다.>라는 것이 <추격은 날일자>이며, 단순히 쫓아갈 경우에도 날일자는 발이 빠르고 준엄한 수단인 것이다.

  한편 <도망은 한칸>은 읽는 뜻과 같이 도망칠 때는 한칸뜀이 발이 빠르다는 의미. 두칸뜀은 엷어서 위험하다.

 

 

기본도(흑선)

  귀에서 살았기 때문에 하변의 백 3점이 엷게 되었다. 어떻게 공격하면 좋을 것인가?

 

 

1도

  우측의 흑 세력에 밀어붙이는 것 같은 흑1, 3의 날일자 공격이 좋은 수. 날일자는 발이 빠르기 때문에 중앙에 좋은 형태로 도망치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날일자의 엷음을 찌르는 것은 자신이 약하니까 위험이 따르게 된다. 또 우변 백A에는 흑B로 응수하여 흑▲을 버린다.

 

 

2도

  흑1의 마늘모도 일책이지만 약간 발이 느린 결함이 있다.

 

 

참고도(추격은 날일자)

  이러한 배석에서 백1로 도망친 백을 쫓는 경우는 흑2의 날일자가 발이 빨라서 유력, 백A면 흑B로 한발 먼저 나아가게 된다.

 

 

3도

  이 경우는 흑1의 날일자가 좋은 수. 흑A의 한칸뜀은 백B로 여유를 준다. 백2, 4는 공격당한 백의 타개의 맥점이다.

 

 

참고도(흑 호조)

  백1, 3으로 붙여 느는 것은 무책. 흑2, 4가 좋은 형태로서 흑▲의 날일자를 한층 빛나게 만든다.

 

 

4도

  <기본도>에서 흑1로 <눈>을 뺏고 공격하면 백2, 4로 한칸 뛰어 발빠르게 도망치는 수 뿐이다. 좌하귀는 A의 3.三 침입이 있어 흑 모양에 마음 쓸 필요는 없다.

 

 

5도

  좌하의 흑 두점을 공격할 때는 확실한 백1의 마늘모가 준엄하다. 좌변 백 넉점을 배경으로 흑의 삶을 강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주위의 조건여하도 마늘모나 철주를 내리는 등이 적절한 때도 있지만 이것은 <공격>이고 <추적>과는 다소 뉘앙스에 차이가 있다.

 

  확실히 <추격은 날일자, 도망은 한칸뜀>인데 이것은 어디까지나 원칙. 실전에서는 주위의 배석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변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