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문 문제도(흑선) 좌하귀 쪽의 두터움을 생각한다면 어떻게 포석 구상을 해야 좋을까? 정해도 좌하귀의 두터움을 이용해 우하쪽 흑1로 바짝 다가선다. 백2로 안전하게 응수하면 흑3으로 하변을 넓히고, 백4로 우변으로 전개하면 흑5로 전개한다. 만일, 백2로 우변 4쪽에 바로 벌리면 흑3은 A로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4문 문제도(흑선) 백이 △로 붙여 온 후 흑의 올바른 응수는? 배석을 고려해야 한다. 정해도 좌하귀에 백이 머리를 내밀고 있으므로 흑1이 바른 응수이다. 이하 10까지 쌍방 최선의 응수다. 그리고 흑이 11의 큰곳으로 손이 돌아왔다. 실패도 흑1은 포석의 의도에 벗어나는 착점이다. 좌하귀의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3문 문제도(흑선) 좌변으로 눈길이 쏠리는 장면이다. 정해도 흑1, 3으로 근거를 마련한 후 나중에 A, B를 맞보기 노린다. 실패도 우변 흑1은 크지 않다. 백2가 놓이고 보면 그곳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2문 문제도(흑선) 우상귀 쪽에 중점을 두고 보자. 정해도 흑1이 호수며 급소다. 백이 이를 방치하고 하변의 큰 곳으로 가면 흑3이 공격의 요점으로 백을 궁지로 몰 수 있다. 실패도 흑1에서 5까지 일반적인 정석 진행 후 백이 손을 돌려 6으로 상변을 침투하면 13까지 백의 실리가 크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1문 문제도(흑선) 가장 시급한 요처는? 정해도 3.三 침입으로 흑이 크게 만족한 형태다. 실패도 흑1은 좋지 않다. 백2로 철주를 내려 좌상이 아주 견실해졌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0문 문제도(흑선) 일반적인 포석 국면이다. 흑의 다음 요처는 어디일까? 정해도 흑1, 3이 수순이며, 좌상귀의 실리를 크게 이득 보았다. 흑1 때 백이 A로 다가서면 흑은 B로 들어간다. 실패도 흑1은 방향착오. 백6까지 견실한 포석이 되었다. 백4와 흑5의 교환 타이밍이 좋아 보인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19문 문제도(흑선) 국면의 공간이 넓다. 어디서부터 전단을 마련하여 선착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까? 정해도 먼저 흑1로 백 한점을 협공하여 백2로 뛰면 3, 4를 교환한 후5로 모자 씌워 공격한다. 좌변 백 두점이 괴롭다. 실패도 흑1은 좋지 않다. 왜냐하면 백2로 걸친 결과가 흑▲ 과 백△의 교환..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18문 문제도(흑선) 초점은 우상귀. 흑의 요점은? 정해도 흑1 마늘모가 요점으로 먼저 귀를 안정시키고 백2로 어깨짚어 오면 흑3, 5로 응수하여 실리가 크다. 실패도 흑1은 나쁘다. 백2의 날일자로 안형의 급소를 당해 귀의 흑 석점이 괴롭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17문 문제도(흑선) 좌하귀에서 백△ 날일자로 씌워 온 장면. 흑의 응수는? 정해도 흑 한점을 움직이기엔 무거우므로 먼저 좌변에 안정을 취한 다음 백이 흑 한점을 제압하면 흑3으로 다가서서 우변 백에 대한 침입을 노린다. 실패도 흑1로 한칸 뛰는 것이 행마법이지만 당장 백2로 다가서면 흑..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16문 문제도(흑선) 우상귀 흑에 대한 가일수가 급해 보인다. 정해도 흑1의 두칸벌림이 호처다. 만일 A까지 벌리면 백은 당장 B로 뛰어들 것이다. 실패도 흑이 하변으로 손을 돌리는 순간 백은 우상귀의 흑을 압박할 것이다. 백2, 4, 6으로 우변을 키움과 동시에 흑은 근거없이 쫒기게 되고 우..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