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문 문제도(흑선) 흑이 일거양득의 이득을 볼 수 있는 곳은? 정해도 중앙으로 향한 흑1의 날일자가 멋지다. 흑은 A의 급소와 백B의 뛰어들기를 간접적으로 보강하고 있어 그야말로 일거양득의 호점이다. 흑3까지 좌변 흑 모양이 가관이다. 실패도 흑1로 우변을 큰 곳을 간다면 백2로 어깨를 누..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4문 문제도(흑선) 포석이 거의 끝난 시점이다. 반상 최대는? 정해도 반상 최대는 우하귀 흑1의 철주. 백2에 흑은 3으로 가볍게 전개한다. 실패도 좌상귀의 모양을 정비하느라 흑1로 둔다면 백은 당장 우하귀 3.三으로 뛰어들어 흑이 손해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3문 문제도(흑선) 평이하게 진행된 포석이다. 좌하 방면에 선착의 효과를 얻을 방법은 없을까? 정해도 흑1로 다가서서 백2를 교환한 다음 흑3으로 뛰어 백A의 침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본다. 실패도1 그냥 흑1로 먼저 한칸 뛰면 백2로 하변의 큰 곳을 가버려 흑의 불만이다. 실패도2 흑1로 우변쪽..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2문 문제도(흑선) 좌하귀의 흑 한점이 당장 움직이기는 무겁다. 그렇다면 활용할 방안은 없는가? 정해도 흑1, 3, 5의 콤비네이션이 흑 한점을 활용하면서 백의 두터움을 지우고 우하변 흑의 볼륨을 키운다. 실패도 흑1, 3으로 움직이는 것은 무겁다. 오히려 흑의 우측 모양이 지워질 뿐 아니라, ..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1문 문제도(흑선) 상변 화점 아래 갈라쳐 온 백 한점에 대한 응수는? 정해도 흑1로 다가서서 백2를 유도한 다음 흑3으로 자연스럽게 뛰어나간다. 흑▲ 때문에 백은 1칸 밖에 벌리지 못한다. 실패도 <정해도>와 달리 만일 흑1이라면 백은 2칸으로 벌려 안정된 근거를 가지므로 백의 만족이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30문 문제도(흑선) 흑의 착안점은 좌하귀쪽인데, 전체적인 국면을 고려해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정해도 3.三 흑1이 요처이며 백2는 거의 필연. 흑은 백6까지 처리한 뒤 상변의 큰 곳인 7로 둔다. 백A로 막는 것이 좋지만 우하귀쪽 흑▲의 견제로 인해 그다지 크지않다. 실패도 한칸 차이..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9문 문제도(흑선) 초반 포석이 거의 마무리된 형태인데 남아있는 큰 곳은 어디일까? 정해도 상변 흑1쪽이 유일한 호처(好處)이다. 큰 곳의 벌림과 동시에 흑 한점을 응원하고 있다. 실패도(백, 두터움 활용) 하변 흑1도 큰 곳이지만 시급하지는 않다. 반대로 상변 백2는 좌상귀의 두터움을 활용..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8문 문제도(흑선) 포석 수순의 중요성에 관한 문제 정해도 흑1과 백2를 교환한 후, 3으로 끊어 9까지 처리하여 우상 흑의 형태를 결정짓는다. 이후 흑A, 백B, 흑C로 귀에는 <패>맛이 있다. 실패도 흑1로 먼저 끊는다면 7까지 진행 후 백8로 다가서면 고립된 좌하귀 백△이 활기를 되찾게 된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7문 문제도(흑선) 지금 당장의 중점은 좌상귀 방면이다. 쌍방간의 급소는? 정해도 흑1로 근거를 마련하면서 백의 근거를 위협하는 수가 좋으며 백2로 받을 때, 흑3으로 우상을 굳히면 대성공이다. 실패도 먼저 흑1로 우상귀를 굳히면 백2의 마늘모가 급소로 좌상귀 흑 전체가 위혐해진다.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
26문 문제도(흑선) 우하귀에서 정석이 진행 중이다. 흑은 주변의 배석을 이용하고 싶은데..... 정해도 이 모양에서는 흑1이 빛나 보인다. 백2는 당연하며 이하 8까지 백이 두텁다. 다만, 우상귀쪽 흑▲의 위치가 좋아 흑은 만족이다. 이런 것이 초반 정석의 운용 요령이다. 실패도 흑1의 날일자처.. 포석공부/포석問答 201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