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0문 문제도(흑선) 잡혀있는 흑 두 점을 어떻게 이용하느냐가 포인트. 1도(정해) 흑1로 내려서는 것이 묘수. 2도(계속) 백2라면 흑3, 5. 자충으로 인해 백A로 둘 수 없다. 3도(실패) 흑1로 두어 백A라면 <정해>로 돌아가지만 백2로 젖히는 수가 있어 흑이 안된다.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8.13
제79문 문제도(백선) 주위의 철벽같은 흑 진영에서 백이 살아남으려면? 수순의 묘를 살려보자. 1도(정해) 약간 착안하기 어려운 백1의 마늘모 행마가 해결의 실마리가 된다. 2도(정해 계속) 흑2, 4가 최강이지만 백5에서 9의 내려섬까지로 살 수 있다. 3도(실패) 백1은 실패. 흑2에서 10까지 두 집이 날..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7.23
제78문 문제도(흑선) 이것은 사활, 맥, 파호하는 방법을 갖춘 전형적인 문제이다. 과연 그 수는? 1도(정해) 먼저 흑1로 젖힌다. 궁도를 좁히는 동시에 바둑 격언에 <죽음은 젖힘에 있다>는 기본 지식을 보여주는 수이다. 2도(정해 계속) 백2 때 흑3의 치중이 결정적인 한 수이다. 바둑 격언 중 <..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7.09
제77문 문제도(백선) 흑이 치중한 상태이다. 백은 어떻게 헤어나야 할까? 1도(정해) 백1로 궁도를 넓히는 한 수뿐이다. 이곳에 흑이 젖혀 오면 백이 무조건 잡힌다. 계속해서..... 2도(정해 계속) 백5로 젖히면 흑6, 백7로 <패>가 된다. 흑6으로 A의 단수는 백7로 이어 무조건 백이 산다. 3도(실패) ..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7.04
제76문 문제도(흑선) 쉬운듯 어려운 문제이다. 특히 실전이라면 착각할지도 모른다. 1도(정해) 흑1로 침착하게 내려서는 수가 정해. 백2, 4 후 흑5로 집을 만든다. 2도(실패) 흑1로 젖혀 궁도를 넓혀 살고 싶은 곳이지만 욕심은 금물이다. 백2로 치중한 후 백4, 6으로 젖혀 잇는다. 계속해서..... 3도(실..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6.19
제75문 문제도(흑선) 나머지 한 집을 내는 수는? 결국 맞보기라는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1도(정해) 흑1을 활용하고 나서 3으로 입구자 행마가 올바른 수순이다. 2도(정해 계속) 백4로 이으면 흑5, 7로 두 집이 확보된다. 백이 백4로 잇지 않고..... 3도(변화) 백4로 안형을 뺏으러 오면 흑5로 잇고 6의..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5.28
제74문 문제도(흑선) 귀의 기본형에 해당한다. 흑은 양쪽을 젖히고 있으니 살아 있다. 흑의 다음 응수는? 1도(정해) 뜻밖의 한 수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흑1로 침착하게 잇는 것이 정해이다. 궁도를 넓히는 것이 긴요하다. 2도(빅) 백은 2의 입구자 행마가 최강이지만 흑3, 5로 받으면 <빅>이 된..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3.31
제73문 문제도(흑선) <바둑은 수순이다>는 격언을 보여주는 문제. 1도(정해) 흑1로 내려서서 응수를 살피는 수순이 중요하다. 2도(계속) 백2면 흑3, 백4로 파호하면 흑5에 두어 백의 자충을 유도한다. 3도(변화) 흑1 때 백2로 바깥에서 응수하면 이번에는 흑3. 백4로 파호하면 흑5의 선수 활용 뒤 ..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3.16
제72문 문제도(흑선) 백△이 방해하고 있는 상황에서 흑은 어떻게 살 것인가? 1도(정해) 흑1로 들여다 보는 한 수. 다시 말해 흑 3점을 버리지 않으면 살 수 없다. 2도(계속) 백2라면 흑3, 5로 흑 3점을 사석으로 간단히 살 수 있다. 3도(실패) 흑A, B, C는 모두 실패가 된다. 한번씩 놓아 보자.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2.22
제71문 문제도(흑선) 자충에 주의하며 살아보자. 1도(정해) 흑1로 꼬부리는 수가 정수. 백2에 흑3으로 받고 백4로 파호하면 흑5로 <패>를 만들 수 있다. 2도(실패1) 흑1로 막는 것은 실패. 백2로 단수하고 4에 치중한다. A와 B는 맞보기. 흑C로 한점을 잡으면 백D로 양단수. 3도(실패2) 흑1로 두는 것.. 사활공부/사활中級 2018.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