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문 문제도(흑선) 백의 약점을 추궁해 보자. 정해도 흑1로 찝는 맥 정도는 이제 한눈에 찾아내야 한다. 정해도 계속 백2로 이으면 3으로 끊는다. 실패도 흑1, 3, 5는 하책의 공략이다. 또한 백8이 A의 단점을 보강하는 좋은 행마다. 변화도 <실패도> 중 흑3 때 백4면 흑5로 당연히 끊고 백6 때 7..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8문 문제도(흑선) 상변 백을 좌우 분단하는 맥점은? 정해도 역시 흑1로 젖히는 것이 올바른 맥점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백이 4로 이으면 흑5로 석점을 따내면 그 자체가 선수이므로 백은 후수로 귀를 보강해야 한다. 변화도 사실, <정해도>에서 백2는 냉정하게 이어야 한다. 이 진행이 ..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7문 문제도(흑선) 상변에서 흘러나온 백 일곱 점을 잡을 수 있을까? 정해도 백 일곱 점을 잡는 첫 그물은 흑1로 젖히는 것이다. 정해도 흑1에 이은 흑3으로 끼우는 것이 묘수. 백8, 10으로 강하게 반발하며 백12로 끊어 수단을 부리지만 흑13으로 그만. 변화도 <정해도>의 백6으로 <본도>의..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6문 문제도(백선) 흑의 모양이 제대로 연결된 것 같은데 뭔가 약점이 있어 보인다. 정해도 백1로 끼우는 것이 흑을 차단하는 첫걸음이다. 계속해서..... 정해도 백1 다음 흑2로 단수할 때 재차 백3으로 끼우는 수순이 중요하다. 흑4를 7에서 단수하면 백4로 뻗으면 흑A로 이어도 B로 끊어진다. 변..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5문 문제도(흑선) 실전에 자주 출몰하는 모양이다. 정해도 흑1의 끼움이 수단을 부리기 위한 첫 단추다. 정해도 백2로 단수칠 때 잇지 않고 흑3과 백4를 교환한 다음 흑5로 끊고 7로 늘어 귀를 위협한다. 흑1의 끼움부터 11까지 백 일단을 무겁게 만든다. 흑은 귀쪽의 한점이 백의 수중에 들어 간 ..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4문 문제도(흑선) 좌측 백△ 한점을 차단해 보자. 정해도 석점머리를 두드리는 것이 급선무. 정해도 이 정도는 해야..... 변화도 흑3으로 끊었을 때 백4의 변신은 무죄....? 실패도 흑1에서 9까지의 진행은 하책으로 싱겁기 짝이 없다.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3문 문제도(흑선) 상변에서 흘러나온 백 일단을 추궁하여 이득을 보자. 1도(정해) 흑1로 건너붙여 공격하는 것이 맥점이다. 2도(정해 계속) 백2로 맞끊지만 상변의 안전을 위해 6, 8로 머리를 내밀기 바쁘다. 이때 흑9로 우변 백을 취한다. 3도(변화) 흑1로 맞끊는 것은 백6까지, 결과가 예측불가인..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2문 문제도(흑선) 백△ 두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중앙으로의 진출을 차단해 보자. 1도(정해) 흑1이 모양의 급소이다. 2도(정해 계속) 흑1, 백2 때 흑3의 이단젖힘이 준비된 행마다. 흑9까지 필연의 수순으로 백이 봉쇄되었다. 3도(변화) 흑3 때 백4, 6으로 저항해도 흑의 수단엔 변함이 없어 백이 거..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1문 문제도(흑선) 접바둑에서 나온 형태이다. 상수의 무리한 수를 응징해 보자. 1도(정해) 흑1의 건너붙이기가 올바른 행마이다. 이어서..... 2도(정해 계속) 백2에 흑3으로 한번 더 젖힌다. 흑7까지 백돌이 급하게 되었다. 3도(변화) 흑1 다음 3으로 나가는 수도 생각할 수 있으나 흑13까지의 결과..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8
20문 문제도(백선) 흑의 외세가 불안정하다. 백의 수단은? 1도(정해) 백1로 젖히는 것이 올바른 수단이다. 계속해서..... 2도(정해 계속) 연이은 백3의 이단 젖힘이 강렬하다. 흑4로 단수친 후 6으로 물러서서 받는다. 백9까지 싸움이 시작된다. 3도(변화) <2도>의 흑6으로 백 한점(백3)을 잡으면 ..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