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문 문제도(흑선) 백에 둘러쌓인 흑3점의 운신의 폭을 넓히는 적절한 행마법은? 1도(정해) 흑1로 응수타진 후 백2로 막으면 백12까지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인 모습이다. 2도(변화) 백1로 진로를 막으면 본격적인 <패>싸움이 시작된다. 만일 백1로 2에 이으면 흑A로 뛴다.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
8문 문제도(흑선) 하변의 침투 요령은? 1도 흑1에 백2면 3으로 붙여 전단을 모색한 후 흑5, 7로 밀고 올라간다. 좌변과 연계한 10과 11의 교환 후 백12의 장문이 흑으로선 아프다. 그러나..... 2도 흑은 11까지 교묘한 수순으로 안정을 한다.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
7문 문제도(흑선) 넓은 하변 백진 속에 침투할 흑의 특공조는? 1도 흑1에 백2로 모자 씌우면 흑3으로 치받아 백4를 유도한 다음, 흑5로 아래에 붙여 백6 때 흑7로 맞끊어 싸운다. 2도(변화) 흑1 때 백2의 마늘모가 최강의 수단이지만 흑3의 날일자가 묘수, 이하 흑13까지 거의 외길 수순으로 타개한..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
6문 문제도 흑이 빠져 나갈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정해도 먼저 흑1로 붙여 백의 응수를 타진, 백2면 흑3, 5로 <패>를 걸어 중앙 흑과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변화도 흑1로 치받을 때 백2로 받으면 흑3으로 빠져 나간다.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
5문 문제도(흑선) 포위망 속 흑 한점의 탈출기. 1도(정해) 흑1로 아래에 붙이는 것이 첫 출발이다. 백2의 바깥 쪽 막음은 필연, 이때 흑3의 끼움수가 행마의 묘수다.백도 4로 물러서는 것이 최강이다. 흑5~9까지 필연. 2도(정해 계속) 쌍방 최선의 진행 3도(정해 계속) 흑1로 먹여치고 3으로 내려서..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
4문 문제도(흑선) 흑▲ 두점은 요석이다. 탈출해야 한다면 행마의 묘책은? 정해도 흑1의 붙임이 행마의 묘. 수순 중 백4로 A로 늘면 흑4로 B에 뛰어 나간다. 변화도 흑1 때 백2의 날일자로 중앙으로 가볍게 처리하자 흑은 5까지 자세를 잡는다. 중앙 백돌 넉점이 공중에 뜬 느낌이다.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
3문 문제도 흑 석점 탈출이 관건이다. 정해도 흑1의 날일자가 행마의 묘. 백2가 침착한 응수. 5의 쌍립 후 9까지 백의 공격으로 벗어났다. 변화도 흑1의 건너붙임도 행마의 맥이다. 백2에 자연스럽게 5까지 탈출. 귀는 A에 붙이는 맛이 남아있다.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
2문 문제도(흑선) 제1문과 거의 비슷한 형태이다. 흑 두점이 빠져 나갈 행마의 요점은? 정해도 흑1의 눈목자 행마가 교묘한 맥점이다. 정해도 백도 2가 정면승부의 수법. 7까지 <패>로 버티며 나간다. 변화도 백2로 A에 한칸 뛰면 흑B의 마늘모가 선수여서, 오히려 백의 손실이다.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
1문 문제도(흑선) 답답해 보이는 흑 두점이 빠져 나올 행마는? 정해도 밭전자 흑1이 행마의 요점. 정해도 계속 백2로 뛰면 3으로 활용한 후 5로 진출한다. 변화도 흑1 때 백2면 3 과 5의 활용 후 흑7로 백2를 제압한다. 백이 A, B 중 어디를 두더라도 흑은 탈출이다. 맥(手筋)공부/行馬의妙 201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