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에 대한 준비 앞으로에 대한 준비 문제도(흑선) 우하귀 싸움이 벌어졌다. 이 싸움은 우하만의 문제가 아니란 걸 알 수 있다. 우변 백 한 점이 고립되어 있어서 백은 우하를 강화하여 앞으로 벌어질 우변에서의 싸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백은 1로 중앙을 강화했다. 흑은 백의 이러한 작전에 대..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9.01.29
싸우는 이유 싸우는 이유 문제도(백선) 흑이 좌상에서 상변으로 큰 벌림이 있어서 백은 1로 뛰어들었다. 백이 두고 싶은 급한 곳으로는, 우하의 백 한점을 구원하는 수, 그리고 하변이나 좌변의 큰 곳 등이다. 백1은 싸우자는 수. 그 이유는 우상에 백의 강대한 두터움이 있어서 상변 흑 한 점을 분리시..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9.01.11
큰 곳이 여기저기에 큰 곳이 여기저기에 문제도(흑선) 하변의 싸움, 흑1의 뜀은 백 두 점에 대한 공격과 좌하의 확장을 겸하고 있다. 좁은 곳이지만 백은 2로 뛰어 흑으로부터 크게 공격당하지는 않을 것 같다. 하변을 공격해도 잘 되지 않을 것 같으면 흑은 다른 곳으로 전환할 수밖에 없다. 좌상귀의 걸침, 우..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9.01.04
괴롭게 하다 괴롭게 하다 문제도(백선) 상변의 싸움. 백은 좌상의 흑을 공격하면서 중앙에 세력을 만들어 하변 모양을 크게 만들려고 한다. 흑이 두려운 것은 백에게 봉쇄되어 공격당하는 것이다. 그래서 흑은 1, 3으로 머리를 내밀고 흑5로 눌러 우상의 백을 괴롭히면서 살 수 있는 태세를 갖추었다. ..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8.12.28
고수가 두는 수 고수가 두는 수 문제도(백선) 우하귀에서 싸움이 벌어졌는데 흑이 1로 벌림으로써 귀의 집을 넓혀 싸움이 일단락. 백이 두고 싶은 큰 곳이 여기 저기에 있다. 좌변, 상변, 좌하 등이다. 특히 좌변에 초점을 맞춘 사람이 있다면 상당한 실력이 있다고 하겠다. 그런데, 프로가 둔다면 이 한 수..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8.12.26
큰 곳을 차지한 뒤에 큰 곳을 차지한 뒤에 문제도(흑선) 두 점 접바둑이다. 우변 흑1은 백을 공격하면서 우상에 모양을 만드는 큰 곳이다.백이 움직여 나오면 흑은 우변을 집으로 만들 생각이다. 백은 2로 걸쳐 흑의 응수를 보면서 우상의 넓힘을 제한한다. 흑은 3, 5로 붙여 뻗어 호조. 백은 6으로 움직여 나왔다..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8.12.21
잡는 방법 잡는 방법 문제도(흑선) 우상의 흑이 약간 두텁다. 백1의 걸침은 흑이 3쪽에서 받으면 백2로 벌려 근거를 가지려는 수법이다. 따라서 흑2의 협공이 좋다. 백은 3으로 양걸침하여 <3.三>의 침입을 노린다. 경우에 따라서는 백1의 한점을 사석으로 하여 하변의 큰 곳에 두려는 것이다. 흑으..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8.12.17
대작전 대작전 문제도(흑선) 좌하에 외목 정석이 두어졌다. 흑1의 높은 걸침은 백에게 실리를 주는 반면 하변에 세력을 만들려는 수이다. 흑은 3으로 눌러 백으로 하여금 4로 제 2선에 받게 하려는 것이다. 이 정석은 다음에 흑이 하변에 벌림을 두어 일단락 되는데. 흑으로서는 이 정도로 만족할 ..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8.12.15
슈우사꾸(秀策)의 수 슈우사꾸(秀策)의 수 문제도(흑선) 백이 좌상을 굳힐 것인가 흑이 걸칠 것인가 하는 큰 수를 두고, 하변에서 싸움이 벌어졌다. 백1의 날일자는 수비에 있어서 손뺄 수 없는 수. 흑2의 중앙 뜀도 백의 공격을 막는 수로 손뺄 수 없는 수. 백3은 하변의 약한 돌을 지키는 수. 쌍방이 일단 상대..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8.12.13
정석의 수순 정석의 수순 문제도(흑선) 아마추어와의 두 점 접바둑이다. 우상귀의 흑1의 붙임은 정석이다. 백2의 젖혀끼움부터 4의 이음까지는 붙여뻗는 정석의 기본형. 만일 백2를 두지 않으면 흑이 4의 곳에 두어 집이 커진다. 그래서 백2, 4는 어쩔 수 없다. 흑의 다음 한 수가 문제이다. 정석의 수순.. 고수의 감각/고수의 다음수 2018.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