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도(흑선)
흑이 화점에서 양변으로 벌렸을 때 백은 A의 3.三에 들어가는 것이 정수. 그런데 백이 3.三 대신 1로 걸친 장면인데 흑의 대응은?
1도(정답)
흑1의 마늘모 붙임이 정해. 백2로 올라서면 흑3으로 한칸 뛰어 받는다. 이 형태는 백이 벌릴 곳을 흑▲이 미리 선점하고 있는 모습이라 흑이 우세하다.
2도(흑, 우세)
흑1 때 백2로 근거를 갖춘다면 흑3으로 한칸 뛰어 세력을 확장하며 계속적인 공격이 가능하다. 백4에 흑5로 백은 일방적으로 공격 당한다.
3도(백의 변화)
흑1 때 백이 손빼는 것은 대부분 좋지 않다. 만일 백2로 변신할 경우 흑은 호구자리 급소로 백△ 한점을 제압한다. 흑3처럼 호구자리를 허용하면 대부분 좋지 않다.
4도(흑의 실패)
<문제도>로 돌아가서 흑1로 협공하는 것은 흑◎과 중복일 뿐 아니라 백은 이때 3.三으로 들어가는 것이 좋다. 백10까지의 기본정석 결과를 보면 흑▲이 이상한 곳에 놓여있음을 알 수 있다.
5도(이적수)
흑1, 3의 붙여 뻗는 것은 상대를 강화시켜주는 이적수이다. 백은 6까지 손쉽게 안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흑▲ 한점이 약해진 것도 불만이다.
6도(백의 변화)
흑1로 뻗을 때 백은 실리를 중시해서 백2로 3.三에 들어가는 것도 중요하다. 이후 흑은 어느 쪽으로 막아야 할지 고민이다.
7도(백, 만족)
백1 때 흑2로 막으면 기분좋게 3으로 연결한다. 계속해서 흑4, 6으로 끼워 이은 것은 백에게 약점을 남기자는 뜻이나 이하 백9까지 백의 실리가 매우 크다. 흑 ▲ 한점도 약해졌다는 것이 흑의 불만이다.
8도(백, 충분)
백1 때 흑2로 호구치면 백은 3이 좋은 대응이다. 흑4로 단수칠 때 백5로 안정하고나면 흑▲ 한점이 이상한 곳에 놓여 있는 모습이다.
9도(백의 욕심)
흑1 때 백2로 밀고 나가는 것은 지나친 욕심이다. 이때 흑은 3으로 백의 앞길을 막는 것이 좋은 행마다. 이후 백은 귀에서 살 수 있지만 변으로의 진출이 봉쇄되어 좋지 않다.
10도(흑의 실수)
백1 때 흑2로 막는 것은 좋지 않다. 백이 3, 5로 안정하고 나면 선수가 백의 차지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흑의 두터움이 중복된 모습이다. 이후 흑은 A의 약점을 보강해야 한다는 것이 쓰라리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림이 모두 3선일 경우의 선택 (0) | 2014.12.21 |
---|---|
3선과 4선의 차이 (0) | 2014.12.21 |
양쪽 변으로 벌렸을 때 대응 (0) | 2014.12.21 |
백의 유혹에 말려든 젖힘 (0) | 2014.12.21 |
세련된 날일자 정석 (0) | 201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