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도(백선)
백1로 붙였을 때 흑2로 젖힌 것은 백의 유혹에 말려드는 수이다. 흑2 이후 백은 어떤 방법으로 형태를 정비하는 것이 최선일까?
1도(정답)
흑1로 젖혔을 때 백은 2로 맞끊는 것이 급소. 흑이 3으로 잡는다면 백4, 6으로 돌파해서 흑이 크게 망한 모습이다. 흑▲ 두점이 매우 약해져 불만이다.
2도(흑의 차선책)
백1 때 흑2가 그나마 최선이다. 백은 3으로 단수 친 후 5로 잇는 것이 약점을 보강하는 요령이다. 흑은 6으로 젖혀서 귀를 선수할 수 있다는 것이 자랑이다.
3도(2도의 계속)
<2도> 이후 백1, 3으로 흑 한점을 취할 때 흑2를 선수한 후 4로 막으면 흑도 백을 봉쇄하여 세력작전을 펼 수 있어 둘만하다.
4도(백, 불만)
흑이 1로 이을 때 백2, 4로 단수쳐서 흑 한점을 잡는 것은 좋지 않다. 흑3, 5로 백 한점이 잡혀서 백의 손해가 크다.
5도(흑, 충분)
흑1로 막았을 때 백2로 단수친다면 흑은 3을 선수한 후 5로 잇는 것이 좋은 수순이다. 이 형태는 백을 기분좋게 봉쇄한 흑이 유리하다.
6도(흑의 약점)
<문제도>로 돌아가서 백1로 붙였을 때 흑2로 젖히는 것은 약간 의문이다. 백은 알기 쉽게 3으로 뻗는 것이 좋다. 흑이 4로 연결할 때 백5, 7로 젖혀 이으면 흑은 8로 약점을 보강해야 하는데 A의 뒷맛이 남는다는 것이 흑의 불만이다.
'종합문제 > 철벽攻防'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림이 모두 3선일 경우의 선택 (0) | 2014.12.21 |
---|---|
3선과 4선의 차이 (0) | 2014.12.21 |
걸침에 대한 대응 (0) | 2014.12.21 |
양쪽 변으로 벌렸을 때 대응 (0) | 2014.12.21 |
세련된 날일자 정석 (0) | 201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