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망우청락집(忘憂淸樂集)
즐겁게 하여 근심을 떨쳐낸다는 뜻으로 망우청락(忘憂淸樂)이라 했던가. 글자 자체가 웃음을 자아내게 한다. 이 책은 고전 중에서도 고전으로 손꼽힐 뿐더러 바둑책의 효시로서 바둑사에 고색창연한 금자탑이다.
중국 북송(北宋) 휘종제(徽宗帝:1100~1125)때에 궁중에서 편찬된 이 책은 예로부터 바둑의 기술에 관해 전해내려오는 각종 자료를 수집 정리한 역사상 최초의 바둑책이다. 손책과 여범의 대국보를 비롯한 진(晉)나라 때의 기보 2국, 당(唐)나라 때의 기보 3국과 아울러 북송시대의 실전보가 수록되어 있다고 하는데, 당나라 현종(玄宗)의 대국보서부터 그 이전의 것들은 가짜라는 의심을 면치 못한다.
유명한 현현기경(玄玄棋經)도 망우청락집을 바탕으로 보완하고 추가하여 만든 것이며, 여타 후대의 기경들도 원류를 소급하면 뿌리가 여기에 있다.
양동환의 '묘수와 속수'중에서
'바둑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자보(官子譜) (0) | 2015.06.02 |
---|---|
현현기경(玄玄棋經) (0) | 2015.05.29 |
김옥균의 바둑실력-기보 수록 (0) | 2015.05.16 |
김옥균의 유보(遺譜) (0) | 2015.05.15 |
고균(古筠)과 수영(秀榮) (0) | 201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