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제1형
제1형(백선)
제6기 도쿄신문 선수권전, 마에다 노부아키(前田陳爾)9단과의 대국, 사카다 백번.
좌변에서 중앙으로 향해서 목을 내밀고 있는 백이 흑의 공격목표가 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 완전히 수습할 수는 없지만, 일단 형태를 갖추어 두지 않으면 안심할 수가 없다. 그다지 어려운 수를 생각할 필요는 없지만, 우선 손을 익히는 정도로 연구해 보자.
참고도1
중앙의 백을 어떻게 정비하느냐 하는 것이 문제인데, 이 경우 상변 일대의 흑 모양에 대한 배려가 없어서는 안된다. 이를테면 백1로 뛰면 흑2가 급소로 와서 백3, 흑4의 경과를 거쳐 흑의 모양을 더욱 크게 만들어 줄 뿐이다.
참고도2
백1로 붙인 점이 이런 장면의 形이다. 흑2로 젖히면 백3으로 뻗어 모양이 단정해 진다. 다만 <본도>는 아직도 중요한 한 수를 잊고 있다.
참고도3
<참고도2>의 수순 중 백의 어디에 不備한 점이 있나? <본도> 흑1, 백2 다음 흑3으로 들여다보는 점을 당하는 것이 괴롭다. <참고도2>에서 백이 좀 더 연구를 하면 선수로 들여다보는 점을 당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제1도
백1로, 비좁기는 하나 이곳으로 끼어넣어 흑2로 받을 때 백3으로 붙이는 것이 정확한 수순이다. 흑6, 백7까지 <참고도2>와 별로 차이가 없는 것같으나, 이 형은 흑A로 들여다보는 점이 무효가 되어 있는 사실에 주의하자. 백이 B로 잇지 않고 C로 몰고서 응수를 한다. 그때 흑이 D로 잇는 것은 대단히 당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이다. (전문기사들은 이런 점을 아주 싫어하는 것 같다.)
참고도4 참고도5
<참고도4> 백1로 끼웠을 때 흑이 2로 밖으로부터 끌어안는 수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백1은 결코 손해가 아니다. 즉 백3, 흑4 다음 백5로 몰면 넉넉하다. 흑6, 백7에 이르러 백의 모양은 본받을 만큼 훌륭하다. 5의 자리는 백의 정형의 급소이며, 흑으로서는 역시 2가 아니라 6으로 받고서 참아야 할 것이다.
<참고도5>
<참고도4>에 있어서의 흑4의 변화를 보자. 흑5를 두기 전에 흑1로 두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백2로 누르는 점은 절대적. 그러면 이번에는 흑3으로 들여다보는 점을 둘 수 있게 된다. 이 形은 흑이 어지간히 반발적으로 나올 것같으나, 실은 그렇지도 않다. 흑5로 젖혀 부풀었을 때 백도 여기서는 6으로 젖힐 수가 있다. 흑7에 대하여 백8로 뻗으니 결과는 백이 더욱 튼튼하게 수습된 모양이다.
'사카다의 바둑 > 행마의 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장-제3형 (0) | 2019.04.26 |
---|---|
제2장-제2형 (0) | 2019.04.03 |
제2장 돌을 수습하는 방법 (0) | 2018.12.09 |
행마의 묘 제11형 (0) | 2018.08.21 |
행마의 묘 제10형 (0) | 2018.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