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정석의 수순
문제도(흑선)
아마추어와의 두 점 접바둑이다. 우상귀의 흑1의 붙임은 정석이다. 백2의 젖혀끼움부터 4의 이음까지는 붙여뻗는 정석의 기본형. 만일 백2를 두지 않으면 흑이 4의 곳에 두어 집이 커진다. 그래서 백2, 4는 어쩔 수 없다. 흑의 다음 한 수가 문제이다.
정석의 수순이라 하더라도, 한 수 한 수의 가치가 변화되니까, 끝까지 충실하게 기본형태로 둘 필요는 없다. 백2, 4는 큰 수인데 흑A의 이음은 큰 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정해도
좌상귀 흑1로 두는 것이 큰 수이다. 백2, 4는 두칸 뜀의 엷음을 지키는 수. 흑은 5의 마늘모를 듣게 하고 7로 벌린다. 다음에 흑은 A의 이음과 B의 누름을 맞보기 하여 순조로은 진행이다.
변화도
실전에서는 흑1로 지키고 백2를 허락했다. 흑은 좌상이 약해져서 흑3, 5로 지켰는데 백6으로 좌변에 저공침입하여, 흑이 먼저 두 점을 깐 효과가 엷어졌다.
'고수의 감각 > 고수의 다음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수가 두는 수 (0) | 2018.12.26 |
---|---|
큰 곳을 차지한 뒤에 (0) | 2018.12.21 |
잡는 방법 (0) | 2018.12.17 |
대작전 (0) | 2018.12.15 |
슈우사꾸(秀策)의 수 (0) | 2018.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