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본형(흑선)
흑은 현재 <눈>이 한개 뿐이다. 그렇다면 살기 위해서는 왼쪽 백의 결함을 찔러서 그기서 <눈>을 한개 더 만들어야 한다.
A나 B의 어느쪽인가를 선택한다는 형태를 바둑에서는 <맞보기>라 부르고 있다.
이 맞보기의 맥은 <사활>에서만이 아니라 포석, 중반, 끝내기 등 모든 곳에 이용되므로 전술적인 면에서 보아도 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사활>에서만 한정을 시켜서 말한다면, 사는 길이 A나 B의 두가지가 남아 있으면 아무리 상대방이 막강한 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포기하고 손을 빼는 것이 당연하다. 상대방이 가령, A의 사는 맥을 방해하여 왔을 때 비로소 B의 길을 택해서 살면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전에서도 조금이라도 유리하게 그리고 결과적으로 맞보기가 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면, 그만큼 바둑
을 쉽게 두어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도(실패)
먼저 흑1로 단수하면 아무 것도 안된다.
2도(정해)
흑1이 절묘한 맥이 된다. 위아래의 백의 약점을 동시에 노리고 있다.
3도
먼저 아래쪽 백을 지키기 위해서 백1로 이으면 흑2로 내려서서 여기에 <눈>을 한개 만들 수 있다. 그것을 백이 싫어해서.....
4도
백2로 한점을 따내면 흑은 3으로 먹여치고 5로 단수하는 <몰아떨구기>로 산다.
요는 <2도>의 흑1은 <3도>의 수단과 <4도>의 수단을 <맞보기>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기초공부 > 死活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낸 자리에 함정이 있다 (0) | 2016.08.25 |
---|---|
약점(弱點) 보강 (0) | 2016.08.23 |
자충수(공배 매움)3 (0) | 2016.08.22 |
자충수(공배 메움)2 (0) | 2016.08.19 |
자충수(공배 메움)1 (0) | 2016.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