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의 곡사궁(曲四宮)
보통 <곡사궁>이라고 하면, <사는 형>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귀에 한해서 특수한 형이 생기는데, 이를 <귀의 곡사궁> 또는 줄여서 <귀곡사>라 부르며 '무조건 죽음'이라는 규정이다.
기본형(백 죽음)
이것이 <귀의 곡사궁>이다.
주위의 공배가 완전히 메워지면 흑은 A의 곳을 단수하여 백을 잡을 권리가 있는 대신, 백은 <석집 자충수>의 죽은 형이므로 백의 죽음으로 규정한 것이다.
1도
약간 다르지만, 이것도 <귀곡사>의 기본형이다.
2도
1도와 똑같은 조건이며, 흑A로 이으면 1도와 똑같은 형이 된다. 백이 무조건 죽는다.
유제1(흑선)
백의 결함을 찔러 <귀의 곡사궁>으로 유도한다.
정해도
흑1로 치중하는 것이 급소이다. 백2로 응수하면, 흑3을 듣게하고 5로 꼬부려 막는다. 흑7까지 되면 기본의 2도와 같은 형이다.
실패도
흑1로 막는 것은 너무 졸렬하다. 백2로 지켜서 산다.
유제2(백선)
흑의 모양이 불완전한데 백의 착수는?
정해도
백1의 치중이 급소이다. 흑2는 다음 3의 먹여치기를 보고 있으므로, 백도 3으로 두고, 이하 백5까지 일단락이다. 이 형은 기본형과 똑같은데 <귀의 곡사궁(曲四宮)>이므로 흑은 죽는다.
실패도
백1로 젖혀서는 흑을 살려주고 만다.
유제3(백선)
결론은 <패>인데, 잘못 응수하면 곤란해지는 문제이다.
정해도
백1의 치중이 흑의 약점을 찌르는 급소이다. 흑2, 4로 패가 된다. 도중 흑2로 3의 곳에 응수하면, 백2로 단수해서 잡을 수 있다. 단, 백1로 3의 곳부터 두면 흑1로 살아버린다.
참고도
백1에 2로 응수하면 이하 백3, 5, 7의 순으로 <곡사궁>이 된다.
유제4(흑선)
실전에서 이와 비슷한 모양이 흔히 나온다.
정해도
흑1의 치중이 급소이다. 백2로 잇게해서 흑3, 5로 젖혀이으면, 이하 흑9까지 <귀의 곡사궁>으로 백은 무조건 죽는다.
실패도
흑1로 꼬부려 막으면 백2로 꽉이어 간단히 살아버린다.